야외전시

추억의거리 위치 이미지

추억의거리

추억의거리
추억의거리 이미지

1960~70년대 당시 엄마 아빠의 그 시절 가슴을 적시는 '추억의 거리'를 야외 전시장에 실물 그대로 재현해 놓았다. '추억의 거리'는 박물관 동편 1,150㎡의 면적에 1960~70년대 여러 상점 건물을 설치하여 당시 일상의 생활 문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흥미로운 공간으로 마련된다. '추억의 거리'에는 근대화연쇄점, 다방, 식당, 만화방, 레코드점, 이발소, 의상실, 사진관 등 다양한 근현대 거리 모습이 재현된다. 한쪽 공간에는 추억의 목마를 설치하여 어린이들이 타볼 수 있도록 하였다. 엄마 아빠의 손을 잡고 국립민속박물관을 찾는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추억의 명소로서 거듭날 것이다.

근대화연쇄점
근대화연쇄점 이미지

대형마트와 편의점이 등장하기 전 우리 일상에서 친숙한 상점의 하나는 근대화연쇄점이다. 근대화연쇄점은 1970년 대 근대화의 물결을 타고 등장한 상점이다. 당시 정부는 유통 근대화를 통해 물가안정을 모색하였다. 정부의 지원 아래 등장한 근대화 연쇄점은 구매, 배송, 광고, 선전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여 경비를 절감하면서 믿을 수 있는 품질의 상품을 일정한 가격에 공급함으로써 물가안정에 기여하였다. 추억의 거리에 설치된 근대화 연쇄점은 1977년 '고교얄개' 영화에 나오는 근대화연쇄점을 참고로 하여 재현하였다. 상점 안에는 당시 출시한 바나나킥, 새우깡 등 먹거리와 하이타이 같은 생활품을 전시한다.

이발소
이발소 이미지

겨울이면 연탄난로를 놓고 그 철사 줄에는 수건이 걸리고, 연통에는 비누 거품을 뭉갠 흔적 그리고 한쪽 벽에는 열댓 마리 새끼 돼지에게 젖을 먹이는 그림이나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로 시작하는 푸슈킨의 시가 걸려 있는 이발소는 그때 그 시절 남자들이 치장을 위해 들르는 유일한 곳으로 장발 등 당시 남자들의 치장도 여자들 못지않게 유행을 탔음을 알 수 있는 공간이다. 추억의 거리 이발소의 간판명은 화개이발소이다. 실재로 화개이발소는 종로구 소격동에 2007년 8월 말까지 약 50년 이상 존재했던 곳으로 국립민속박물관은 2007년 이곳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발소 의자, 이발도구, 이발소 그림 등 이발소 물품들을 전시한다.

다방
다방 이미지

다방은 커피 판매에만 국한되지 않는 공간이었다. 다방의 간판명은 약속다방이며, 이는 그 당시 가장 많이 썼던 다방 이름 중의 하나였다. 그때의 다방은 차를 마시고 쉬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넘어서 다양한 문화적 중추 활동을 하기도 하였는데 특히 음악다방이라는 공간은 많은 젊은이들이 모여들어 문화를 공감하고 유행을 만들어냈던 시대 흐름의 한 축이었고 LP음악을 들었던 세대에게 있어 음악은 과거로 돌아갈 수 있게 하는‘타임머신’과도 같다.

장미 의상실
장미 의상실 이미지

의상실의 간판명은 장미 의상실이다. 명동은 패션의 거리로 70년대 의상실의 수가 눈이 띄게 늘어났고 쇼우 윈도우에 매력 넘치는 마네킹이 등장하였으며 화려한 차림의 여인들이 유행을 만들어내며 거리를 활보하기 시작하였다. 장미 의상실은 1977년 당시 큰 히트를 쳤던 ‘겨울여자’에 나오는 의상실 외관을 참고로 재현하였다.

만화방
만화방 이미지

좁다란 가게와 불편한 나무 의자, 연탄난로. 흑백 TV 등은 학교 마치고 집에 오자마자 달려갔던 어린 시절의 추억이 묻어 있던 만화방 풍경이다. 단행본도 재미있지만 연작은 만화방을 가지 않고는 배겨나지 못하게 했다. 후속 편이 나왔다는 말(소문)이 돌기가 무섭게 만화방 문을 밀치고 들어가 진열대에서 꺼내 볼 때 그 호기심이 충족된 짜릿함은 지금도 묽어지지 않았다. 만화책의 책장을 넘기면서 한 입씩 먹던 라면 땅과 쥐포 맛 또한 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