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한국문화상자의 ‘한복’상자는 한국 전통 의복인 한복을 주제로 한복을 입어보고 다양한 모자를 써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체험상자다. 한복 상자를 통해 한국의 멋과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한복과 한국의 다양한 모자들을 체험할 수 있다.
한국문화상자의 ‘한복’상자는 한국 전통 의복인 한복을 주제로 한복을 입어보고 다양한 모자를 써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체험상자다. 한복 상자를 통해 한국의 멋과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한복과 한국의 다양한 모자들을 체험할 수 있다.
한복에는 주머니가 없어서 물건을 담는 주머니를 따로 가지고 다녔다. 주머니에 화려한 자수무늬를 수놓아 액운을 막고 행복을 기원하였다. 둥근 것을 '두루주머니', 모난 것은 '귀주머니'라고 한다.
남자아이가 설날이나 돌 때 쓰는 모자로 그 형태가 호랑이를 닮았다. 무서운 호랑이의 힘을 빌어 아이에게 부정이나 잡귀의 근접을 막고 건강·장수 하기를 바란 것이다.
보통 여자아이들이 쓰는 모자로 여러 가닥의 댕기가 달려있다. 오늘날에는 보통 여자아이들이 첫 생일인 돌잔치나 명절에 색동저고리, 다홍치마와 함께 쓴다.
남자한복은 저고리와 바지로 구성되며, 때에 따라 배자를 저고리 위에 입기도 한다.
여자한복은 일반적으로 저고리와 치마를 입으며, 때에 따라 저고리에 배자를 입기도 하고 노리개와 같은 장신구를 더하기도 한다.
수계도권 (유숙) 중 일부
조선시대 남자들이 외출할 때 쓰던 모자로, ‘흑립’이라고도 한다. 성인이 된 남자만 쓸 수 있었다.
복건을 쓴 아이 (엘리자베스 키스)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사용한 모자이다. 오늘날에는 남자 어린이들이 명절이나 돌 옷차림에 함께 착용한다.
그림감상 (김홍도)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유생들이 향교나 서원에서 쓰던 실내용 모자이다. 착용하면 머리 뒤로 자연스럽게 젖혀진다.
갈모를 쓴 남자 (폴 자쿨레)
비나 눈이 올 때 갓 위에 덮어 쓰던 모자이다. 한지로 만들고 그 위에 콩기름이나 들기름을 여러 번 발라 비에 젖지 않는다. 접기 쉽게 만들어서 휴대하기 편하다.
조바위는 여자들이 착용한 방한용 모자이다. 얼굴을 둥글게 감싸는 형태이다. 여자아이는 첫 생일인 ‘돌’에 색동저고리와 다홍치마를 입고 조바위를 쓰기도 했다.
남바위는 남녀가 겨울에 착용한 방한용 모자다. 위가 트이고 뒤가 덮여 있으며 안 쪽에는 솜이나 털을 대었고, 겉에는 푸른 비단으로 장식하고 매듭을 달았다.
은으로 배씨모양을 만들어 칠보로 장식한 댕기이다. 머리카락이 채 자라지 않은 여자아이들을 위해 앞머리에 단다.
조선시대 지식층인 선비들이 입던 겉옷이다. 깃이 곧고 소매 폭이 넓으며, 옷 뒷면에 옷자락이 하나 더 붙어 있는 모양으로 만든 것이 특징이다.
남자들이 외출할 때 입는 옷. 도포와 달리 양 옆이 트여있어 활동하기에 편할 뿐만 아니라 소매 너비가 넓어 널리 착용된 옷이다.
남여 모두 외출할 때 입었던 겉옷이다. 사방이 두루 막혔다는 뜻으로 두루마기라 한다.
여자들이 집 밖을 나갈 때 쓰고 다닌 것이다. 여자들은 가족이 아닌 남자들에게 얼굴을 보이는 것이 예의가 아니었기 때문에 집 밖을 나갈 때 얼굴을 가리는 쓰개를 착용하였다.
한복을 입을 때는 신발도 그에 걸맞게 신어야 했다. 여자들은 ‘꽃신’이라고도 불리는 운혜를 신었고, 남자들은 단정한 태사혜를 신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