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국립민속박물관 새소식]]> ko-kr kotranews Fri Nov 07 12:10:57 KST 2025 <![CDATA[어린이박물관 홈페이지 만족도 조사 안내(참여기간: 11.16.(일)까지/ 모바일 커피 상품권 추첨 증정)]]> 국립민속박물관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 홈페이지 만족도 조사
        
        국립민속박물관은 어린이박물관, 파주관 홈페이지 이용에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조사기간: 2025년 9월 24일(수)~11월 16일(일)
        조사내용: 홈페이지 서비스 품질, 이용 경로, 방문 이유 등
        참여 방법: 국립민속박물관 홈페이지 인터넷망으로 접속 후 배너 또는 팝업창 '설문참여하기' 버튼을 누른 후 설문 조사 진행. 팝업창 '설문참여하기' 클릭. 
        참조 사항: 1. 설문 소요 시간은 약 5분 정도로 예상됩니다. 2. 설문 진행 중 종료하시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3. 설문 진행 중 이전문항으로 '뒤로가기' 기능은 없습니다. 설문조사 참여해 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모바일 커피 상품권을 보내드립니다. 응답하신 내용은 통계법 제33조에 의해 비밀이 보호됩니다.
        
        설문조사 참여해 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모바일 커피 상품권을 보내드립니다. 응답하신 내용은 통계법 제33조에 의해 비밀이 보호 됩니다.
        
        설문 참여하기 ]]> <![CDATA[파주관 홈페이지 만족도 조사 안내(참여기간: 11.16.(일)까지/ 모바일 커피 상품권 추첨 증정)]]> 국립민속박물관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 홈페이지 만족도 조사
        
        국립민속박물관은 어린이박물관, 파주관 홈페이지 이용에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조사기간: 2025년 9월 24일(수)~11월 16일(일)
        조사내용: 홈페이지 서비스 품질, 이용 경로, 방문 이유 등
        참여 방법: 국립민속박물관 홈페이지 인터넷망으로 접속 후 배너 또는 팝업창 '설문참여하기' 버튼을 누른 후 설문 조사 진행. 팝업창 '설문참여하기' 클릭. 
        참조 사항: 1. 설문 소요 시간은 약 5분 정도로 예상됩니다. 2. 설문 진행 중 종료하시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3. 설문 진행 중 이전문항으로 '뒤로가기' 기능은 없습니다. 설문조사 참여해 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모바일 커피 상품권을 보내드립니다. 응답하신 내용은 통계법 제33조에 의해 비밀이 보호됩니다.
        
        설문조사 참여해 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모바일 커피 상품권을 보내드립니다. 응답하신 내용은 통계법 제33조에 의해 비밀이 보호 됩니다.
        
        설문 참여하기 ]]> <![CDATA[2025년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신규 자원봉사자 선발 최종합격자 공고]]>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의 신규 자원봉사자 선발 최종합격자를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최종합격자

가. 합격자 명단(총 5명)

분야 합격자
응시번호 성명(휴대전화 뒷번호)
전시해설 001 박○희(1861)
002 홍○화(4576)
004 류○렬(6090)
005 김○희(0568)
006 백○영(6308)



나. 제출 서류: 최종합격자는 아래 서류를 2025. 11. 15.(토) 기본교육 당일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출 서류 비고
  •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붙임 1]
  • 범죄 전력 조회 동의서 1부[붙임 2]
  • 성 비위 예방 서약서 1부[붙임 3]
  • 반드시 자필 서명 후 원본 제출
  • 사진 파일(jpg)
  • 신분증 사본
  • 통장 사본
  • 활동비 지급을 위한 자료


기본 교육 일정

  • 일시 및 장소 : 2025. 11. 15.(토) / 13:00~17:00 / 파주관 교육실 1
  • 내용: 전시해설 구성과 기법 강의, 주요 전시 스토리라인, 응대 매너 등


향후 일정

  • 결격사유 조회: 2025. 11. 17.(월) ~ 11. 21.(금)
  • 해설참관: 2025. 11. 18.(화) ~ 12. 13.(토) 중 2회 이상
  • 해설시연: 2025. 12. 15.(월)
  • 최종배치: 2026. 1.



붙임 1.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
         2. 범죄 전력 조회 동의서
         3. 성 비위 예방 서약서
]]>
<![CDATA[2026년 상반기 국립민속박물관 민속공연 공개모집 연장 공고문 (신청기간: 10. 1.(수) ~ 11. 7.(금))]]>

국립민속박물관은 박물관을 찾는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우리 전통문화 예술을 알리고 전통문화의 계승·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전통문화공연을 개최해 오고 있습니다. 무형 문화유산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기성 예술인들은 물론 재능 있는 신진 예술인들에게 폭넓은 공연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우리 민속을 널리 홍보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2026년 상반기 공연[개인 및 단체] 신청을 접수하오니, 역량 있는 국악 예술단체 및 개인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공연 일시

  • 매주 토요일 오후 3시 (2026년 1월~6월) / 총 26회
  • 짝수 주 금요일 오후 2시 (2026년 4월~6월) / 총 6회


공연 방식

  • 토요상설공연: 실내공연(박물관 강당 186석)
  • 금요열린민속무대: 야외공연(박물관 앞마당)


접수방법: 우편 접수

  • 우편 접수: 공연신청서 등 제출서류(첨부파일)를 내려받아 국립민속박물관 섭외교육과로 우편 발송
    ※ 접수처: (03045)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7, 국립민속박물관 섭외교육과 민속공연담당자 앞


신청기간

  • 2025. 10. 1.(수)~2025. 11. 7.(금)
    ※우편접수는 11월 7일(금) 우체국 소인이 있는 것까지 인정함


최종 발표

  • 2025. 11. 21.(금) 예정
    ※ 국립민속박물관 누리집 새소식란 공고 및 개별 통보


신청서류(붙임 참조)

  • 1) 공연신청서 1부
  • 2) 공연 대표자 이력서 1부
  • 3) 공연계획서 1부
    - 공연개요(공연명, 출연진 소개 등)
    - 공연프로그램 소개(공연내용 및 공연자 인원 명시)
  • 4) 정보수집 동의서 1부
  • 5) 저작권 이용 허락 동의서 1부
  • 6) 대표자 이력사항, 수상경력 및 최근 3년간(2022. 10. ~ 2025. 9.) 공연활동 증빙자료 1식(사본 가능)
    ※ 증빙자료 미제출 시 점수 산정 제외


신청부문

  • 한국민속 기반의 전통예술 또는 창작예술로 창의성과 우수성을 갖춘 공연
  • 60분 공연이 가능한 기악, 성악, 무용, 연희, 기타(극, 무예 등) 부문


공연자 선정

  •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정한 선정심의위원회에서 선정


선정 공연자(개인 및 단체) 혜택

  • 공연장 무료 제공(리허설 시간 포함)
  • 공연 안내 리플릿 제작 및 무료 배포
  • 공연 사진 및 영상을 기록하여 국립민속박물관 아카이브 영구 보관 및 자료 활용
  • 공연자(개인 및 단체)에게 소정의 공연비 지급 ※ 1회 2,000,000원


기타 유의사항

  • 한 팀당 1회 공연만 신청 가능함
  • 출연자 인원은 사회자 포함 7인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함
  • 단독 출연(독무, 독주)은 전체 공연 시간의 50%를 넘지 않음
  • 제출된 자료 및 서류는 일절 반환하지 않음
  • 공모 결과에 따라 공연 일정은 조정하여 통보
  • 선정 후 제출서류 등 신청내용에 허위사항 발견 시 선정을 취소함
  • 최종 발표 일정은 조정될 수 있음
  • 기타 신청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국립민속박물관 섭외교육과 우리민속한마당 담당자에 문의
    T. (02)3704-3102


첨부파일

  • 공연신청서 등 1식



- 담당자: 섭외교육과
(02-3704-3102)
]]>
<![CDATA[2025년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신규 자원봉사자 선발 서류심사 합격자 발표 및 면접심사 일정 공고]]>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의 신규 자원봉사자 선발 서류심사 합격자 및 면접심사 일정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서류심사 합격자

분야 합격자
응시번호 성명(휴대전화 뒷번호)
전시해설 001 박○희(1861)
002 홍○화(4576)
003 김○우(6420)
004 류○렬(6090)
005 김○희(0568)
006 백○영(6308)



면접심사 일시 및 장소 안내

  • 전형일시: 2025. 11. 1.(토), 10:00 ~
  • 전형장소: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경기도 파주시 헤이리로 30)
    • 면접장소: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교육2실
    • 대기장소: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교육1실
  • 최종합격자 발표: 2025. 11. 3.(월)


면접심사 방법 및 평가기준 안내

  • 심사방법: 개별면접(1인당 10분 내외)
    • 박물관 재직 공무원 3인 이상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실시
    • 응답의 논리성, 태도, 전문성 등 실질 능력 평가
  • 평가기준
    • 자원봉사 신념 및 봉사정신(20점): 자원봉사에 대한 이해, 사회적 책임감, 성실성 및 지속 참여 의지
    • 언어 구사 능력 및 의사소통 태도(20점): 전시해설자로서의 언어 표현력, 발음·속도·태도, 관람객 응대 자세
    • 자원봉사 업무 이해도(20점): 박물관의 기능, 자원봉사자의 역할, 전시해설의 의미와 책임에 대한 이해 수준
    • 민속 및 전시 관련 기본지식(20점): 민속문화·유물·전시에 대한 기본 이해 및 설명 능력
    • 면접 태도 및 예절(20점): 면접 태도, 협동성 등 봉사자로서의 기본 자세
  • 합격자 선정: 평균 65점 미만자 과락, 이상자 합격 처리


향후 일정

  • 최종합격자 발표: 2025. 11. 3.(월)
  • 결격사유 조회: 2025. 11. 4.(화) ~ 11. 11.(화)
  • 기본교육: 2025. 11. 15.(토)
  • 해설참관: 2025. 11. 18.(화) ~ 12. 13.(토) 중 2회 이상
  • 해설시연: 2025. 12. 15.(월)
  • 최종배치: 2026. 1.
* 상기 일정은 기관 사정에 따라 변경 가능, 변경 시 홈페이지에 별도 공고



- 담당자: 유물과학과 오아란
(031-580-5844)
]]>
<![CDATA[2025년 12월 중&middot;고등학생 자원봉사활동 안내]]>

개요

  • 활동일자 : 2025년 12월 1일~12월 31일 매주 토,일
    ※ 당일 중복 신청 불가능
  • 활동대상 : 중·고등학생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
  • 참여인원 : 토, 일요일_4명
  • 활동시간 : 1일 3시간(9:30~12:30), 3시간(14:00~17:00)
    *하루 3시간 이상 활동 불가능(오전/오후 택1)
  • 활동내용 : 어린이박물관 전시실 질서유지 및 체험활동 지원
  • 활동과정 : 출석확인-사전교육-봉사활동
 

신청 접수

  • 신청기간 : 2025.11.1.(토) AM 0시부터 온라인 접수 시작
    *승인확인 후 봉사 가능(주말 접수 시 주중 승인 가능)
  • 신청방법 : 1365자원봉사포털(https://1365.go.kr) 회원가입 후 신청 및 접수
    *활동대상 선정은 선착순 접수
  • 신청확인 : 나의 자원봉사 → 봉사활동 참여정보 → 봉사신청 내역
    *학생 본인 아이디로 로그인 후 신청한 날짜와 분야 확인 후 활동에 참가
 

자원봉사자 모임 장소 및 지참물

  • 장소·시간 : 어린이박물관 안내데스크, 9시 20분(오전), 13시 50분(오후)까지 집결
  • 지참물 : 학생증 *없을 시 본인증명 가능한 것으로 대체 가능. 미지참시 출석인정 불가
  • 복 장 : 봉사활동에 맞는 편안하고 단정한 복장
    *유아 관람객 전시 특성상 모자·슬리퍼·짧은 스커트 및 바지·체육복·진한화장 등 자제
 

유의사항

  • 자원봉사활동 취소 대상자
    - 1365자원봉사포털(https://1365.go.kr) 접속 로그인 → 나의 자원봉사 → 봉사활동 참여정보 → 봉사신청 취소
    *접수 중인 경우에만 취소 가능. 승인 완료인 경우 전화 연락으로 취소 가능
    - 신청취소 하지 않은 경우, 다음 신청에서 제외. 전화 취소의 경우 2번 이상 누적되면 다음 신청에서 제외됩니다.
  • 봉사신청 승인완료 대상자
    - 취소를 원하는 사람은 최소 3일 전에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대리인 신청 등으로 인하여 확인서에 활동 학생이름과 연락처 표기가 다른 경우 출석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 온라인 접수만 가능합니다. 전화 신청은 받지 않습니다.
    *‘1365자원봉사포털’ 이용방법은 1365 고객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청소년의 경우 담임선생님이나 봉사활동 선생님과 상담 후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당일 불참 시 활동이 제한 됩니다.
  • 자원봉사활동 관련 문의처
    - 02 3704 4527 어린이박물관과 최효경
 




- 담당자: 어린이박물관과 최효경
(02-3704-4527)
]]>
<![CDATA[제4차 한일학술교류 국제학술대회 &lt;경직도로 본 한일농경생활문화&gt;(개최일: 11.7.(금))]]>

학술대회 개요

  • 대회명: 제4차 한일학술교류 국제학술대회 <경직도로 본 한일농경생활문화>
  • 개최일시: 2025.11.7.(금) 10:00~17:00
  •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대강당
  • 현장등록
  • 문의: 02)3704-3203

]]>
<![CDATA[2025년 지진안전주간 지진행동요령 안내]]>
]]>
<![CDATA[2025년 11월 중&middot;고등학생 자원봉사활동 안내]]>

개요

  • 활동일자 : 2025년 11월 1일~11월 30일 매주 토,일
    ※ 당일 중복 신청 불가능
  • 활동대상 : 중·고등학생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
  • 참여인원 : 토, 일요일_4명
  • 활동시간 : 1일 3시간(9:30~12:30), 3시간(14:00~17:00)
    *하루 3시간 이상 활동 불가능(오전/오후 택1)
  • 활동내용 : 어린이박물관 전시실 질서유지 및 체험활동 지원
  • 활동과정 : 출석확인-사전교육-봉사활동
 

신청 접수

  • 신청기간 : 2025.10.1.(수) AM 0시부터 온라인 접수 시작
    *승인확인 후 봉사 가능(주말 접수 시 주중 승인 가능)
  • 신청방법 : 1365자원봉사포털(https://1365.go.kr) 회원가입 후 신청 및 접수
    *활동대상 선정은 선착순 접수
  • 신청확인 : 나의 자원봉사 → 봉사활동 참여정보 → 봉사신청 내역
    *학생 본인 아이디로 로그인 후 신청한 날짜와 분야 확인 후 활동에 참가
 

자원봉사자 모임 장소 및 지참물

  • 장소·시간 : 어린이박물관 안내데스크, 9시 20분(오전), 13시 50분(오후)까지 집결
  • 지참물 : 학생증 *없을 시 본인증명 가능한 것으로 대체 가능. 미지참시 출석인정 불가
  • 복 장 : 봉사활동에 맞는 편안하고 단정한 복장
    *유아 관람객 전시 특성상 모자·슬리퍼·짧은 스커트 및 바지·체육복·진한화장 등 자제
 

유의사항

  • 자원봉사활동 취소 대상자
    - 1365자원봉사포털(https://1365.go.kr) 접속 로그인 → 나의 자원봉사 → 봉사활동 참여정보 → 봉사신청 취소
    *접수 중인 경우에만 취소 가능. 승인 완료인 경우 전화 연락으로 취소 가능
    - 신청취소 하지 않은 경우, 다음 신청에서 제외. 전화 취소의 경우 2번 이상 누적되면 다음 신청에서 제외됩니다.
  • 봉사신청 승인완료 대상자
    - 취소를 원하는 사람은 최소 3일 전에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대리인 신청 등으로 인하여 확인서에 활동 학생이름과 연락처 표기가 다른 경우 출석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 온라인 접수만 가능합니다. 전화 신청은 받지 않습니다.
    *‘1365자원봉사포털’ 이용방법은 1365 고객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청소년의 경우 담임선생님이나 봉사활동 선생님과 상담 후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당일 불참 시 활동이 제한 됩니다.
  • 자원봉사활동 관련 문의처
    - 02 3704 4527 어린이박물관과 최효경
 




- 담당자: 어린이박물관과 최효경
(02-3704-4527)
]]>
<![CDATA[2026 민속생활사박물관협력망 사업 공모]]>

추진배경 및 목적

  • 지역박물관의 자립기반 구축 및 운영 활성화
  • 지역박물관을 거점으로 활용하여 지역민의 문화 향유권 신장
  • 국립민속박물관과 지역박물관 간의 협업을 통한 상호 협력 강화

사업개요

  • 사업대상: 전국 국·공립 박물관, 등록 사립·대학 박물관 등
  • 사업기간: 2026년 1월 ~ 2026년 12월
  • 사업내용
    - 지역박물관 교육 개발 및 운영 지원
    - K-museums 공동기획전
    - 다문화꾸러미 대여
    - 찾아가는 어린이박물관
  • 사업추진 일정
    ‘25년 10월-11월
    각 과 사업 공모
    ‘25년 12월
    심사 및 선정
    ‘26년 1월-11월
    사업추진
    ‘26년 12월
    최종평가
    결과보고

* 자세한 내용 및 신청서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CDATA[2025년 국립민속박물관&middot;민속학계 연합 학술대회(일시: 2025. 10. 31.(금))]]>

학술대회 개요

  • 대회명: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민속학계 연합 학술대회
  • 주제: 민속학, 공론의 장을 열다: 박물관과 학회의 연대를 통해
  • 일시: 2025. 10. 31.(금), 13:00~17:00
  •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볕들재 어울림방
  • 문의전화: 02-3704-3232

]]>
<![CDATA[국립민속박물관 국제학술대회 &lt;세계문화박물관의 오늘을 바라보다: 상호문화 이해와 박물관의 역할&gt; 개최 (개최일: 10. 23.(목))]]>

학술대회 개요

  • 대회명: 국립민속박물관 국제학술대회 <세계문화박물관의 오늘을 바라보다: 상호문화 이해와 박물관의 역할>
  • 개최일시: 2025. 10. 23.(목) 13:00~17:30
  •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대강당
  • 참여방법: 현장참여
  • 내용: 세계문화박물관으로의 확장을 위한 모색
    - 1부: 세계문화박물관의 수집과 조사
    - 2부: 세계문화박물관의 전시와 교육
  • 사전신청: QR 접속
    QR코드
    https://m.site.naver.com/1SOfr

2025 국립민속박물관 국제학술대회

세계문화박물관의 오늘을 바라보다 - 상호문화 이해와 박물관의 역할

Rethinking Museums of World Cultures Today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the Role of Museums

국립민속박물관 대강당
2025. 10. 23.(목) 13:00~17:30
국립민속박물관

프로그램 안내
Program Opening 12:30~13:00 (30') 등록 Registeration 13:00~13:05 (5') 개회 Opening Ceremony 사회 이은미 Yi Eunmi |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13:05~13:10 (5') 환영사 Welcoming Speech 장상훈 Jang Sang-hoon | 국립민속박물관장 Part 1. 세계문화박물관의 수집과 조사 Collection and Research at Museums of World Cultures 13:10~13:35 (25') Talking Care 프로젝트 - 취득에서 보살핌으로 From Taking to Care 클라우디아 아우그스타트 Claudia Augustat | 오스트리아 비엔나 세계박물관 남미 컬렉션 책임자, Taking care 프로젝트 리더 13:35~14:00 (25') 출처 공동체와 유산 활용 - 헝가리 민족학박물관의 수집 및 연구 Source communities and heritage use - Acquisition and Research at the Museum of Ethnography in Budapest 게바우어 한가 Gabauer Hanga | 헝가리 민족학박물관 사진컬렉션 큐레이터 14:00~14:25 (25') 국립민속박물관 세계 민속 조사 30년 - 세계로 열린 창의 허브로서 성과와 미래 전망 30 Years of World Folklore Surveys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 Achievements and Future Prospects as a Window to the World Hub 안정윤 An Jeongyun |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14:25~15:25 (60') 1부 종합토론 | Roundtable Discussion 좌장 구문회 Koo Mun Hoe | 유물과학과장 토론 김혜인 Kim Hyein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이현경 Lee Hyun Kyung | 서강대학교 전인교육원 조교수 오창현 Oh Changhyun | 목포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15:25~16:00 (35') 휴식 Break Time Part 2. 세계문화박물관의 전시와 교육 Exhibitions and Education at Museum of World Cultures 16:00~16:25 (25') 싱가포르 아시아문명박물관 및 페라나칸 박물관 전시 사례 - 항구 도시, 글로벌 아시아 및 문화적 정체성 Asian Civilisations Museum and Peranakan Museum, Singapore - Port Cities, Global Asia and Cultural Identity 케니 팅 Kennie Ting | 전 싱가포르 아시아문명박물관장 16:25~16:50 (25') 경계를 넘어 세계를 잇는 교육: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교육 사례 Education Beyond Borders: A Case Study of the National Asian Culture Center (ACC) 기영준 Ki YoungJun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학예연구관 16:50~17:30 (40') 2부 종합토론 | Roundtable Discussion 좌장 위철 Wee Cherl | 어린이박물관과장 토론 이성민 Li Sungmin |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이영신 Yi Youngcin |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국립민속박물관
]]>
<![CDATA[상설전시관3 임시 휴관 안내(10. 28.(화))]]>

상설전시관3《한국인의 일생》전시 자료 교체 및 전시장 개선 작업을 위해 임시 휴관합니다.
관람객 여러분의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 휴관일: 2025년 10월 28일 (화)/ 1일
  • 재개관: 2025년 10월 29일 (수)



- 담당자: 전시운영과
(02-3704-3154)
]]>
<![CDATA[2026년 상반기 국립민속박물관 민속공연 공개모집 공고 (신청기간: 10. 1.(수)~ 10. 31.(금))]]>

국립민속박물관은 박물관을 찾는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우리 전통문화 예술을 알리고 전통문화의 계승·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전통문화공연을 개최해 오고 있습니다. 무형 문화유산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기성 예술인들은 물론 재능 있는 신진 예술인들에게 폭넓은 공연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우리 민속을 널리 홍보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2026년 상반기 공연[개인 및 단체] 신청을 접수하오니, 역량 있는 국악 예술단체 및 개인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공연 일시

  • 매주 토요일 오후 3시 (2026년 1월~6월) / 총 26회
  • 짝수 주 금요일 오후 2시 (2026년 4월~6월) / 총 6회


공연 방식

  • 토요상설공연: 실내공연(박물관 강당 186석)
  • 금요열린민속무대: 야외공연(박물관 앞마당)


접수방법: 우편 접수

  • 우편 접수: 공연신청서 등 제출서류(첨부파일)를 내려받아 국립민속박물관 섭외교육과로 우편 발송
    ※ 접수처: (03045)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7, 국립민속박물관 섭외교육과 민속공연담당자 앞


신청기간

  • 2025. 10. 1.(수)~2025. 10. 31.(금)
    ※우편접수는 10월 31일(금) 우체국 소인이 있는 것까지 인정함


최종 발표

  • 2025. 11. 14.(금) 예정
    ※ 국립민속박물관 누리집 새소식란 공고 및 개별 통보


신청서류(붙임 참조)

  • 1) 공연신청서 1부
  • 2) 공연 대표자 이력서 1부
  • 3) 공연계획서 1부
    - 공연개요(공연명, 출연진 소개 등)
    - 공연프로그램 소개(공연내용 및 공연자 인원 명시)
  • 4) 정보수집 동의서 1부
  • 5) 저작권 이용 허락 동의서 1부
  • 6) 대표자 이력사항, 수상경력 및 최근 3년간(2022. 10. ~ 2025. 9.) 공연활동 증빙자료 1식(사본 가능)
    ※ 증빙자료 미제출 시 점수 산정 제외


신청부문

  • 한국민속 기반의 전통예술 또는 창작예술로 창의성과 우수성을 갖춘 공연
  • 60분 공연이 가능한 기악, 성악, 무용, 연희, 기타(극, 무예 등) 부문


공연자 선정

  •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정한 선정심의위원회에서 선정


선정 공연자(개인 및 단체) 혜택

  • 공연장 무료 제공(리허설 시간 포함)
  • 공연 안내 리플릿 제작 및 무료 배포
  • 공연 사진 및 영상을 기록하여 국립민속박물관 아카이브 영구 보관 및 자료 활용
  • 공연자(개인 및 단체)에게 소정의 공연비 지급 ※ 1회 2,000,000원


기타 유의사항

  • 한 팀당 1회 공연만 신청 가능함
  • 출연자 인원은 사회자 포함 7인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함
  • 단독 출연(독무, 독주)은 전체 공연 시간의 50%를 넘지 않음
  • 제출된 자료 및 서류는 일절 반환하지 않음
  • 공모 결과에 따라 공연 일정은 조정하여 통보
  • 선정 후 제출서류 등 신청내용에 허위사항 발견 시 선정을 취소함
  • 최종 발표 일정은 조정될 수 있음
  • 기타 신청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국립민속박물관 섭외교육과 우리민속한마당 담당자에 문의
    T. (02)3704-3102


첨부파일

  • 공연신청서 등 1식



- 담당자: 섭외교육과
(02-3704-3102)
]]>
<![CDATA[추석 연휴기간 전시해설 중지 안내 (중지일: 10. 5.(일) ~ 10. 8.(수))]]>

2025년 추석 연휴기간 중 전시해설을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방문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시해설 안내

구분 일자 내용
상설전시 ‘25. 10. 5.(일) ~ 10. 8.(수)
  • 추석 연휴 기간(4일간) 전시해설 없음.
* 박물관 휴관일: ‘25. 10. 6.(월) / 추석 당일
* 전시해설 예약 관련 문의: ’25. 10. 10.(금) 이후(02-3704-3129)



- 담당자: 섭외교육과
(02-3704-3129)
]]>
<![CDATA[2025 국립민속박물관 추석한마당 행사 안내(10.4.(토), 10.5.(일), 10.7.(화)) ]]>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을 맞이하여 4일(토), 5일(일), 7일(화) 3일간 ‘2025 국립민속박물관 추석한마당’을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추석을 맞아 전통 세시의 의미를 되새기고, 세대와 세대를 잇는 국립민속박물관의 개방·공유·활용의 가치를 확산시키고자 세시 체험과 공예체험, 특별 공연, 현장 이벤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준비한 다채로운 행사와 함께 한가위의 풍성한 정취를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

2025 국립민속박물관 추석한마당 NFMK'S BOUNTIFUL HARVEST CELEBRATION. 한가위는 민속이지. 10월 4일 토요일, 10월 5일 일요일, 10월 7일 화요일. 추석 당일(10월 6일 월요일)은 휴관합니다.

1. 국립민속박물관 본관

구분 연번 행사명 일시 장소 행사내용 참가방법
4 5 7
세시
체험
1 한가위배 씨름대회 본관
앞마당
15:00~17:00
한가위배 씨름대회
(성인/어린이)
사전접수
현장참여
2 한가위맞이 씨름체험교실 본관
앞마당
13:00~14:00
씨름 시범 및 강의, 씨름 체험 현장참여
3 가족대항
전래놀이 릴레이
어린이박물관
놀이마당
11:00/13:00/
15:00
가족대항 전래놀이
(제기차기, 발로 고무신던지기
말타기, 투호, 팽이치기 등)
*8강부터 우승상품 증정
사전접수
현장참여
(회당 16가족)
4 보름달과 함께 찰칵! 본관 로비
10:00~17:00
보름달 앞에서 우리가족
사진 찍고 공유하기
현장참여
온가족이 함께하는
체험
5 한가위는 민속이지! 본관 로비
10:00~17:00
한가위를 맞아 민속에 대한 생각 적어보기 현장참여
6 민화 손거울 만들기 본관
앞마당
10:00~12:00
13:00~17:00
까치호랑이 그림 그려
손거울 만들기
현장참여
(일 250명)
7 종이 호랑이 접기 종이로 호랑이 접기 현장참여
(일 250명)
8 매듭 키링 만들기 삼천주 노리개 형태로 매듭 키링 만들기 현장참여
(일 250명)
9 한가위 풍경 색칠하기 본관 로비
10:00~12:00
13:00~17:00
한가위 관련 풍경 색칠하기 현장참여
(일 100명)
10 갓끈 스트랩 만들기 본관 로비
10:30/14:00/
16:00
갓끈 스트랩 만들기 현장참여
(회당 20명)
특별전
연계
11 천문도 미니 병풍 만들기 기획2실 옆
11:00/14:00
천문도 특별전 관람 후
미니 천문도 만들기
사전접수
현장참여
(회당 20명)
특별
공연
12 평택농악
(국가무형유산)
본관
앞마당
12:00
풍물패와 관람객이 함께하는 공연 자유관람
13 해남 우수영
강강술래
(전라남도무형유산)
본관
앞마당
14:00
원무, 청어엮기, 지와밟기,
문지기놀이, 꼬리따기 등
자유관람
14 안동포 길쌈 마당
(국가무형유산)
본관
앞마당
11:00/시연
13:00~/체험
국가무형유산 삼베(안동포) 길쌈 과정 시연 및 삼베실 체험 현장참여
15 한가위에 함께하는
인류무형유산 대동제
본관
강당, 앞마당
13:00~15:00
1부 실내공연, 2부 본관 앞마당에서 농악, 강강수월래 등 자유관람
추억의 거리에서 16 7080, 만화 보고 가자 추억의 거리
꾸러기만화
10:00~17:00
1970~1980년대 추억의 만화책 보기 자유이용
17 7080, 추억 사진관에서
찰칵!
추억의 거리
스타의상실 서울사장
10:00~17:00
7080 추억의 사진관에서 사진찍기 자유이용
18 DJ, 그 음악을
틀어주세요
추억의 거리
약속다방
10:00~12:00
13:00~16:00
DJ와 함께하는 7080 신청곡 체험 자유이용
19 추억의 골목놀이 추억의 거리
근대화슈퍼,
북촌국민학교 앞
10:00~17:00
사방치기, 고무줄놀이, 비석치기 등 자유이용
현장
이벤트
20 출동! 세대 공감
추억탐험대
‘내 추억에 놀러와’
제수합 뒤
10:00~12:00
14:00~17:00
명절에 모든 가족 구성원의 세대별 기억을 공유하는 온라인 미션 활동
*기념품 증정
현장참여
이벤트
(선착순
1일 300명)
21 도전! 농사꾼의 한판
대결
상설전시관2 연계
<도전! 농사꾼의 한판 대결>
*기념품 증정
현장참여
이벤트
(선착순
1일 300명)
22 박물관 SNS 구독하고
전시실에서 한가위 관련
유물 찾기
박물관 SNS 구독하고 전시실에서 한가위 관련 유물 찾아 찍어 올리기
*기념품 증정
현장참여
이벤트
(선착순
1일 300명)
한국공예
디자인문화
진흥원
23 추석맞이 전통한복 곱게
입기 체험
어린이박물관 놀이마당
11:00~17:00
한복문화주간 추석맞이 전통한복 바르고 곱게 입기 체험
사전접수: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사전접수*
현장참여
(1일 85명)
23종
※ 프로그램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한복 곱게 입기 프로그램 사전접수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에서 진행합니다.



2.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구분 연번 행사명 일시 장소 행사내용 참가방법
4 5 7
파주
개방형
수장고
1 자율활동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
파주관 전역
10:00~18:00
ㅇ 개방형 수장고와 민속아카이브센터를 탐험하며 추석 관련 미션 해결
ㅇ 완료 시 기념품 증정
(10.5., 10.7. / 1일 500개 한정)
ㅇ 운영기간: 10.3.(금)~10.9.(목)
현장
참여
2 빛을 담아
나비촛대 만들기
파주관
4-5수장고 사이
10:00~12:00
13:00~17:00
ㅇ 전시 유물(촛대) 모티프
ㅇ 나비 촛대 만들기
현장
참여
(일 250명)
3 소원을 담아
보름달 자개 키링
만들기
파주관
5-6수장고 사이
10:00~12:00
13:00~17:00
(30분/12회/20명)
ㅇ 자개로 보름달 꾸미기
ㅇ 띠지에 소원을 적어 키링 완성하기
현장
접수
(1회 20명)
4 정성을 담아
전통문양
비즈팔찌 만들기
아카이브센터 앞 휴게공간
10:00~12:00
13:00~17:00
ㅇ 전통문양 비즈를 활용해 팔지 만들기 현장
참여
(일 250명)
5 한·중·일
전통놀이 릴레이
우리놀이터
10:00~12:00
13:00~17:00
ㅇ 한국 전통 놀이 체험 공간인 우리놀이터에 중·일 추석 놀이 추가 비치
ㅇ 중국: 콩주(죽방울), 찌엔즈(제기)
ㅇ 일본: 켄다마(죽방울), 코마마와시(팽이)
현장
참여
6 포토존
《달맞이》
1층 로비
10:00~18:00
ㅇ 보름달을 바라보며 소원을 비는 달맞이 내용의 등신대 배치
ㅇ 운영기간: 10.3.(금)~10.9.(목)
현장
참여
6종





[ 주요 사진 ]

추석한마당 포스터
▲ 추석한마당 포스터
한가위배 씨름대회
▲ 한가위배 씨름대회
한가위배 씨름대회
▲ 한가위배 씨름대회
7080 추억의 거리
▲ 7080 추억의 거리
추억의 골목놀이
▲ 추억의 골목놀이
강강술래
▲ 강강술래
매듭 키링 만들기
▲ 매듭 키링 만들기
추석맞이 전통한복 곱게 입기 체험
▲ 추석맞이 전통한복 곱게 입기 체험
빛을 담아 나비 촛대 만들기
▲ 빛을 담아 나비 촛대 만들기
전통문양 비즈팔찌 만들기
▲ 전통문양 비즈팔찌 만들기
자율활동지<br>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
▲ 자율활동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
]]>
<![CDATA[2025 내정보지킴이 캠페인 안내]]> 개인정보보호위원회 2025 내정보지킴이 캠페인 MISSION INFO.SSIBLE 개인정보 지켜LOCK. 개인정보지킴이 LOCK스타와 함께 소주한 개인정보를 지켜요!
]]>
<![CDATA[2025년 국립민속박물관&middot;한국문화경제학회 공동학술대회 (개최일: 9.17.(수))]]>

학술대회 개요

  • 대회명: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한국문화경제학회 공동학술대회
  • 주제: 융합컨텐츠가 이끄는 전통과 콘텐츠의 넥서스
  • 일시: 2025. 9. 17.(수), 15:00~17:00
  •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전통문화배움터
  • 문의전화: 02-3704-3232

제42호 문화경제포럼, 융합콘텐츠가 이끄는 전통과 콘텐츠의 넥서스. 일시: 2025년 9월 17일(수) 15시부터 17시까지.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전통문화배움터. 주최: 한국문화경제학회,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주관: 국립민속박물관. 후원: COSS, 자유기업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발제자: 배성우(SBS XR-멀티모탈AI국장 PD) AI콘텐츠와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 김보름(한성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경계를 넘어: 초공간적 경험과 K-콘텐츠의 확장. 사단법인 한국문화경제학회
]]>
<![CDATA[중국어 전시해설 운영 변경 안내(9월 15일부터 시행)]]>

한국어

국립민속박물관 전시해설 운영 변경 관련 안내 말씀드립니다. 중국어 전시해설 일정이 다음과 같이 변경되오니 이용에 차질 없으시길 바랍니다.
추후 전시해설 운영에 변동이 있을 시 국립민속박물관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관람객 여러분의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변경 일시: 2025. 9. 15.(월) ~ 별도 안내 시까지
  • 변경 사항
    중국어 해설 운영 변경 전 변경 후
    정기해설 월·수 10:30 월 10:30
    예약해설 잠정 중단


Chinese

国立民俗博物馆汉语讲解服务因馆务安排自即日起进行如下调整,敬请参观观众知悉并予以配合。
如后续讲解服务有进一步变动,本馆将通过国立民俗博物馆官方网站及时发布公告。
敬请广大观众理解与支持。
谢谢。


  • 【调整时间】 自 2025 年 9 月 15 日(周一)起,至另行通知为止
  • 【调整内容】
    项目 调整前 调整后
    定期讲解 周一、周三 10:30 周一 10:30
    预约讲解 暂停
  • 【咨询电话】 02-3704-3129
]]>
<![CDATA[파주관 어린이체험실 및 우리놀이터 운영 회차 변경 안내(9월 22일부터 시행)]]>

파주관 어린이체험실 및 우리놀이터의 관람 환경 유지를 위하여 운영 회차를 다음과 같이 변경합니다. 관람객 여러분의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 변경 적용일: 2025. 9. 22.(월) ~
  • 변경 사유: 쾌적하고 안전한 관람 환경 유지
  • 변경 내용
    당초 변경
    1회 10:00 ~ 10:50 1회 10:00 ~ 10:50
    2회 11:00 ~ 11:50 2회 11:00 ~ 11:50
    3회 12:00 ~ 12:50 정비, 점검
    4회 13:00 ~ 13:50 3회 13:00 ~ 13:50
    5회 14:00 ~ 14:50 4회 14:00 ~ 14:50
    6회 15:00 ~ 15:50 5회 15:00 ~ 15:50
    7회 16:00 ~ 16:50 6회 16:00 ~ 16: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