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국립민속박물관 새소식]]> ko-kr kotranews Thu Mar 30 23:02:51 KST 2023 <![CDATA[2023년 박물관 민속학 교실 안내]]>
국립민속박물관은 K-culture의 뿌리이자, 상상력의 모티브가 되는 민속 문화유산 강좌를 통해 민속 문화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저변 확대를 위해 ‘박물관 민속학 교실’ 강좌를 운영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바랍니다.

  • 교육명: 박물관 민속학 교실
  • 교육기간: 2023. 4. 25 ~ 2023. 10. 31(마지막주 화요일) 총 6회
  • 교육시간: 10:00~12:00
  • 교육대상: 민속·역사·인류학 등에 관심있는 성인, 전공 학생 등 150명
  • 참 가 비: 무료
  • 교육장소: 국립민속박물관 대강당
  • 신청기간: 2023. 4. 1. ~ 2023. 4. 24.(선착순 150명)
  • 교육문의 : ☎ 02–3704-3107, 3124
  • 교육내용: K-culture와 민속문화
    연번 교육일 강의 내용 강사명
    1 4. 25. 세계는 왜 K-컬처에 열광하는가? 홍석경
    (한류연구센터장, 서울대학교 교수)
    2 5. 30. 전 세계가 한국이야기를 좋아하는 지금은 K-웹툰 시대 한창완
    (세종대학교 교수)
    3 6. 27. 글로벌 위상 속 K무비
    민속으로 스토리텔링하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 칼럼니스트)
    4 8. 29. 세계가 입덕한 K-패션 ‘한복’ 이민주
    (경기도 문화재위원)
    5 9. 26. 세계인의 입맛을 홀린 K-푸드 정혜경
    (호서대학교 교수)
    6 10. 31. 세상 힙한 요즘 노래 K-컬처와 판소리
    (심청가부터 범내려온다까지)
    유영대
    (전 국악방송 사장)
    ※ 교육일 및 내용은 변경될 수도 있음.



- 담당자: 섭외교육과 구민경, 김호준
(02-3704-3107, 3124)
]]>
<![CDATA[상설전시관1 휴관 안내(4.3.~12.11.(예정))]]>

2018년 12월부터 운영해 온 상설전시관1 ‘한국인의 하루’는 ‘K-컬처 속 우리’(가제) 주제로 새롭게 개편되어 2023년 12월에 개관할 예정입니다.
이에 4월 3일(월)부터 상설전시관1은 개편을 위해 휴관합니다.
관람객 여러분께 양해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한 새로워질 상설전시관1에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 휴관 기간: 2023년 4월 3일(월)~2023년 12월 11일(월)(예정)
    * 재개관: 2023년 12월 12일(화)



- 담당자: 전시운영과 나훈영
(02-3704-3095)
]]>
<![CDATA[2023년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교육프로그램 안내]]>

‘국립민속박물관 파주’는 국내외 다양한 민속자료를 보존‧관리하는 박물관이자, 누구나 자유롭게 자료를 관람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수장고입니다. 국립민속박물관 파주를 더욱 재미있고 알차게 즐길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이오니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운영기간: 2023년 1~12월(교육별 일정은 하단 ‘교육 운영 안내’ 참조)
  • 대 상: 어린이, 청소년, 성인, 관람객 등
  • 내 용: 개방형 수장고 특화 및 대상별 맞춤형 교육 등(자세한 내용은 하단 ‘교육 운영 안내’ 참조)
  • 장 소: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로 30)
  • 참 가 비: 무료
  • 방 법: 대면교육
  • 문 의 처: 유물과학과 황기준, 김효정(전화: 031-580-5814, 5878 / 이메일: hkj25@korea.kr)


교육 운영 안내

연번 교육명 기간 대상 내용 세부 안내
시간 참가비
1 나만의 수장고를 소개합니다! 4~12월 어린이(단체) 재질별 소장품 보관환경 학습 및 개방형 수장고 모형을 활용한 소장품 콘텐츠 배치 체험활동
2시간 무료
2 문화가 있는 날, 파주관에 가는 날 3~12월 성인 매월 <문화가 있는 날> 주간 및 계기일 등과 연계하여, 파주관 주요 소장품 주제의 강의 진행 및 관련 문화예술 체험활동
2시간 무료
3 개방형 수장고 민속탐험대 4~12월 청소년(단체) 특정 탐험 주제와 관련된 수장고 속 소장품을 탐구하고, 조별로 스토리텔링을 구성하여 발표해보는 체험활동
2시간 무료
4 수장고에서 꿈꾸는 미래 3~12월 청소년(단체) 수장고 속 학예연구사 직업 탐구 및 직무 체험활동의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2시간 무료
5 교원연수 프로그램 4~12월 교육 전문직
(단체)
민속문화 교육 현장 체험을 위한 파주관 관람 및 교육프로그램 안내, 학교 현장의 박물관 교육 수요 의견 청취
2시간 무료
6 열려라!
민속 보물창고
1~12월 학교 단체,
관람객
자기주도형 개방형 수장고 활동지 탐방 학습 현장 자유 이용
1시간 무료
7 찰칵찰칵,
파주관에서의 하루
1~12월 관람객(평일) 폴라로이드 카메라를 활용하여 파주관 방문 사진을 기록물로 남기고 기념품으로도 소장할 수 있는 민속아카이브 체험활동 현장 방문 접수
(1층 어린이 체험실
안내데스크)
1시간 무료
※ 상황에 따라 교육명, 일정, 대상, 내용 등은 변경될 수 있음


교육 운영 사진

파주관 교육 모습 파주관 교육 모습
파주관 전시장 교육 모습 파주관 교육 모습
파주관 교육 모습 종이 액자




- 담당자: 유물과학과 황기준, 김효정
(031-580-5814, 5878)
]]>
<![CDATA[소장품 이미지 검색 서비스 일시 중단 안내 (3.23.목 9시~16시)]]>

소장유물 정보 추가 및 현행화 작업으로 '소장품 검색' 메뉴에서 아래 기간동안 보이지 않는 소장품 이미지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작업일시: 2023. 3. 23.(목) 9시~16시 (총 7시간)(* 작업시간은 단축·연장될 수 있습니다.)
  • 해당 메뉴: 소장품 검색 (위치: 대표누리집 > 소장자료 > 소장품 > 소장품 검색)



- 담당자: 민속기획과 최희정
(02-3704-3247)
]]>
<![CDATA[소장품 공개구입 예정자료 공개]]>

국립민속박물관은 전시 및 조사연구에 필요한 소장품을 확보하기 위해 매해 공개구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공개구입 예정 자료는 <국립민속박물관 소장품 관리규정>에 의거, 소장자로부터 매도요청을 받아 3 차례의 평가위원회를 거쳐 선정된 것으로, 향후 매매계약 체결을 통해 소유권이 국가로 귀속될 예정입니다.

게시된 구입 예정 자료 중 도난, 도굴, 밀반입 등 불법적인 행위와 관련된 것으로 의심되는 자료에 대해서는 국립민속박물관에 이의 신청할 수 있습니 다.


  • 이의신청기간: 게시일~2023.3.22.(수) 12:00
  • 연락처: 국립민속박물관 유물과학과(031-580-5810, fengyue@korea.kr)
  • 구입예정 자료 목록: 붙임파일 참조



- 담당자: 유물과학과 이경효
(031-580-5810)
]]>
<![CDATA[2023년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문화가 있는 날, 파주관에 가는 날(3월)] 교육프로그램 안내]]>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에서 매달 마지막 수요일이 포함된 주간에 ‘문화가 있는 날, 파주관에 가는 날’ 성인 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수장고 속 다양한 소장품을 주제별로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문화예술 생활용품 만들기 체험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교육명: 멋스러움과 실용성의 목가구, 반닫이
  • 교육일정: 2023. 3. 30.(목) 13:30~15:30
  • 교육대상: 성인 20명
  • 교육 신청방법: 국립민속박물관 홈페이지(https://www.nfm.go.kr/)를 통한 선착순 접수("접수중" 버튼 클릭)
    ▶ 교육 접수페이지 바로가기
  • 교육비: 무료
  • 교육장소: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로 30) 교육실1
  • 교육 신청기간: 2023. 3. 22.(수) 10:00~3. 27.(월) 18:00
    ※ 교육 신청 취소 시, 3. 28.(화) 10:00까지 담당자 이메일(hkj25@korea.kr)로 취소 의사 송부
  • 교육내용
    - 반닫이의 특징, 구조, 지역별 차이 등 알아보기
    - 파주관 16수장고 속 반닫이 소장품 전시해설 관람하기
    - 한지공예를 활용한 작은 반닫이 형태의 다용도 보관함 꾸며보기
  • 유의사항
    - 교육내용 및 일정 등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교육 신청은 개인별(1인)로 신청 가능함
    - 성인 대상 교육으로서 어린이‧청소년의 동반 참여는 교육 신청 및 출입이 제한됨
    - 교육 참가자에게는 3. 29.(수) 오후에 별도 교육안내 문자 발송 예정임
    - 파주관에 대한 별도 전시관람 예약 절차 없음
  • 교육문의: 유물과학과 황기준(031-580-5814), 김효정(031-580-5878)

◈ 교육 관련 사진

반닫이 소장품 모습 파주관 16수장고 모습
파주관 16수장고에서 교육듣는 사람들 한지공예 교육모습



- 담당자: 유물과학과 황기준, 김효정
(031-580-5814, 5878)
]]>
<![CDATA[[행정안전부] 국가안전시스템개편 종합대책 소개페이지 안내]]>

행정안전부에서는 이태원 참사 직후 「범정부 안전시스템개편 TF」를 구성하고, 국민, 민간전문가, 국회(국정조사), 지자체 등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국가안전시스템개편 종합대책」을 마련하여 발표하였습니다.(‘23.1.27.)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소개 페이지를 안내 드리오니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함께 만드는 모두의 일상이 안전한 대한민국,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행정안전부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소개페이지 바로가기



]]>
<![CDATA[공공와이파이 이용 안내]]>

국립민속박물관은 관람객 편의를 위해 ‘무료 공공와이파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람객 여러분의 많은 이용 바랍니다.



이용장소: 국립민속박물관 본관 실내외

  • 실내 : 14대 운영 중
  • 실외 : 6곳 운영 중 (※ 구체적인 위치는 아래 지도 참고 바랍니다.)

    본관 실내외 지도


사용방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공공와이파이 사용방법 안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시려면? Public WiFi Secure. 안드로이드 설정 - EAP 형식 - PEAP, ID: wifi, 비밀번호: wifi, CA 인증서: 인증 안 함, 2단계 인증: MSCHAPv2. 아이폰 설정 - 사용자 이름 wifi, 암호: wifi, 인증서: 신뢰. 노트북(윈도우10) 설정 - 네트워크 보안 키 입력: wifi, 다음 클릭. 쉽게 사용하시려면? Public WiFi Free 클릭, 공공와이파이 이용하기 클릭.
]]>
<![CDATA[2023 청소년 융복합교육〈교과서 속 민속 이야기〉안내]]>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청소년들의 다양한 꿈과 끼를 발견하고 성장하는데 씨앗이 되고자, 다음과 같이 청소년 융복합 문화교육을 운영합니다.

2023년 상반기에 운영되는 <교과서 속 민속 이야기>는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개발한 교육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세시풍속과 명절(설날, 단오, 추석, 동지)에 대해 알아보는 교육입니다.

창포비녀는 언제 쓰는 걸까? 팥죽은 언제 먹는 걸까?
알쏭달쏭한 한국의 세시풍속과 명절 이야기를 재밌게 즐겨보세요!




- 담당자: 섭외교육과 이은미, 임한슬
(02-3704-3105, 3106)
]]>
<![CDATA[2023 청소년 진로체험 교육〈박물관 속 직업 탐구〉안내]]>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청소년들의 다양한 꿈과 끼를 발견하고 성장하는데 씨앗이 되고자, 다음과 같이 청소년 진로체험 교육을 운영합니다.

2023년에 운영되는 <박물관 속 직업탐구>는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과거의 직업을 발견하고 현재와 미래의 직업과 나의 진로에 대해 알아보는 교육입니다.




- 담당자: 섭외교육과 이은미, 임한슬
(02-3704-3105, 3106)
]]>
<![CDATA[홈페이지 접속 일시중단 안내 (3.15.수 18~21시)]]>

국립민속박물관 서버 증설 작업으로 홈페이지(누리집) 접속이 일시중단되오니 많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중단일시: 2023. 03. 15.(수) 18:00 ~ 21:00 (3시간) (완료시간은 단축·연장될 수 있음)
  • 중단누리집: 국립민속박물관 대표누리집, 어린이박물관 누리집, 파주관 누리집, 한국문화상자 누리집



- 담당자: 민속기획과 박승연, 최희정
(02-3704-3027, 3247)
]]>
<![CDATA[국립민속박물관 전시보조물품 무상 양도]]>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전시 종료 후 전시보조물품을 무상 양도하여 유관 박물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길상 특별전 ‘그 겨울의 행복’, 토끼띠 해 특별전 ‘새해 토끼 왔네!’ 폐막에 따라 기 활용한 전시보조물품을 양도하고자 하오니 관심 있는 지역 및 공ㆍ사립박물관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양도물품 내역(붙임문서 참조)

  • 아크릴 케이스, 체험테이블 등 49건 51점

신청방법

  • 첨부된 양도신청서 작성 및 접수(유의사항 확인 필수)

진행 일정

  • 양도공고 : 2023. 2. 27.(월) ~ 3. 8.(수)
  • 신청접수 : 2023. 3. 3.(금) ~ 3. 8.(수) 16:00
  • 양수기관 선정 및 통보 : 2023. 3. 9.(목), 개별 통보
  • 양도일시 : 2023. 3. 13.(월) ~ 3. 15.(수), 일정 협의 후 진행

※ 물품의 포장 및 운송에 소요되는 금액은 양수기관 부담입니다.
※ 최종 양수기관으로 선정된 이후에는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담당자: 전시운영과 오민석
(02-3704-3156)
]]>
<![CDATA[2023년 4월 중, 고등학생 자원봉사활동 안내]]> 개 요
  • 활동일자 : 2023년 4월 매주 일요일 오후 (총5일)
    *당일 중복 신청 불가능
  • 활동대상 : 중·고등학생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
  • 참여인원 : 일요일_2명
  • 활동시간 : 1일 3시간(14:00~17:00) *3시간 이상 활동 불가능
  • 활동내용 : 어린이박물관 전시실 질서유지 및 체험활동 지원
  • 활동과정 : 출석확인-사전교육-봉사활동

신청 접수

  • 신청기간 : 2023. 3. 20(월) AM 0시부터 온라인 접수 시작
  • 신청방법 : 1365자원봉사포털(https://1365.go.kr) 회원가입 후 신청 및 접수
    *활동대상 선정은 선착순 접수
  • 신청확인 : 나의 자원봉사 → 봉사활동 참여정보 → 봉사신청 내역
    *학생 본인 아이디로 로그인 후 신청한 날짜와 분야 확인 후 활동에 참가

자원봉사자 모임 장소 및 지참물

  • 장소·시간 : 어린이박물관 안내데스크 앞 13시 50분(오후)까지 집결
  • 지참물 : 학생증 *없을시 본인증명 가능한 것으로 대체 가능. 미지참시 출석인정 불가
  • 복 장 : 봉사활동에 맞는 편안하고 단정한 복장
    *모자·슬리퍼·짧은 스커트 및 바지·체육복·진한화장 등 학생품위 손상 자제

유의사항

  • 자원봉사활동 취소 대상자
    - 1365자원봉사포털(https://1365.go.kr) 접속 로그인 → 나의 자원봉사 → 봉사활동 참여정보 → 봉사신청 취소
    *접수중인 경우에만 취소 가능. 승인완료인 경우 전화 연락으로 취소 가능
    - 신청취소 하지 않은 경우, 다음 신청에서 제외. 전화 취소의 경우 2번 이상 누적되면 다음 신청에서 제외됩니다.
  • 봉사신청 승인완료 대상자
    - 취소를 원하는 사람은 최소 3일 전에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대리인 신청 등으로 인하여 확인서에 활동 학생이름과 연락처 표기가 다른 경우 출석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 온라인 접수만 가능합니다. 전화 신청은 받지 않습니다.
    *‘1365자원봉사포털’ 이용방법은 1365 고객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청소년의 경우 담임선생님이나 봉사활동 선생님과 상담 후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당일 불참 시 활동이 제한 됩니다.
  • 자원봉사활동 관련 문의처
    - 02 3704 4527 어린이박물관과 김라희




- 담당자: 어린이박물관과 김라희
(02-3704-4527)
]]>
<![CDATA[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어린이체험실 관람시간 변경 안내(3.16.목~)]]>

관람객 편의 및 수요 대응을 위해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어린이체험실 관람시간이 3월 16일부터 변경됩니다. 예약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3월 15일까지는 변경전 시간으로 운영합니다.


변경 후 관람시간 안내(3.16.목~)

  • 1회차: 10:00 - 10:50
  • 2회차: 11:00 - 11:50
  • 3회차: 13:00 - 13:50
  • 4회차: 14:00 - 14:50
  • 5회차: 15:00 - 15:50
  • 6회차: 16:00 - 16:50



- 담당자: 유물과학과 최미옥
(031-580-5844)
]]>
<![CDATA[[청소년교육][상설3관연계] 메타버스 「한국인의 일생 - 네컷사진관」 안내]]>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인의 일생’ 전시를 제페토에서 즐기고 네 컷 사진으로 남겨볼까요?

국립민속박물관은 상설전시관 3 ‘한국인의 일생’을 메타버스 월드로 구현하였습니다. 네이버 제페토 ‘한국인의 일생 – 네컷사진관’ 월드에서 출생부터 관혼상례까지 한국인의 주요 일생의례를 체험해봅시다.

2023 청소년 방학교육 요즘민속

요즘 민속? 국립민속박물관은 옛 사람들과 요즘 우리의 일상과 일생을 소개하는 박물관 입니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청소년을 위해 준비한 겨울방학 수업인 요즘 민속은요! 공부로 바쁜 요즘 청소년들이 놓치고 있는 일상의 소중함과 일생에 한 번 뿐인 지금을 되돌아보고 자신만의 포트폴리오(아카이브)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업입니다. 모든회차 참여시 봉사활동시간 8시간 부여

신청기간: 1월 6일 금요일부터 1월 29일 일요일까지. 신청방법 : 1365 자원봉사포털 - 국립민속박물관 요즘 민속 검색. 선착순 접수, 4일(1월 31일부터 2월 13일까지) 모두 신청하세요. 교육문의 02-3704-3105, 3106

교육개요. 과정명: 박물관 틴즈 - 요즘 민속(YOZM FOLK). 교육대상: 14세부터 19세까지 청소년 개인, 회당 25명 내외. (예비 중학생도 신청가능). 교육일시: 1월 31일 화요일부터 2월 3일 금요일까지 13시 30분부터 15시 30분까지 2시간. 화~금 4일 동안 진행. 교육내용: 1일차 박물관 Zoom-in 마인드 맵으로 키워드 뽑기. 2일차 조사, 연구 What's In My Photo. 3일차 아카이브 실습 - 내 이야기, 포트폴리오. 4일차 도슨트 - 우리 민속 이야기, 라운드 테이블. 진행방식: 박물관 방문, 대면교육. 주의사항: 수업 4회 이상 참여시 봉사시간 8시간 부여.





- 담당자: 섭외교육과 이은미
(02-3704-3106)
]]>
<![CDATA[국립민속박물관 2023년 [찾아가는 어린이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신청 안내]]>

교육목적 및 내용

  • 목적: 문화 소외 지역 어린이 대상 박물관 전시 연계 체험 프로그램 제공
  • 내용 : 전시버스 ‘신비한 마법의 방’ 전시 관람 및 인형 만들기. 민속놀이 등 체험
  • 교육대상 : 경기, 충북, 강원지역의 30명 내 초등학교(병설 유치원 포함)
  • 일정
    일자
    10월 18 19 20
    11월 1 2 3
    15 16 17

교육신청서 접수

  • 제출기간: 2023. 3. 31. (금요일) 까지
  • 신청 시 유의사항
    - 교량으로 연결되지 않은 도서지역 불가
    - 전시버스(대형관광버스) 차량이 학교 내 진입해야 하며, 교육 장소와 인접한 곳에 버스주차가 가능해야 함 (전시연결이 가능해야 함)
    - 교육 운영을 위한 기본시설 구비: 음향 및 영상 장비(노트북, 스크린, 빔프로젝트 등)
    - 만들기 활동을 위한 책상, 의자가 구비 된 교육실
    - 최종 선정학교의 경우만 전화통보 및 홈페이지 게재

    ※ 신청서 제출 시 위의 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 사진 자료 반드시 첨부.
  • 신청서 제출처: E –Mail / fkmgl19@korea.kr
  • 문의: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과 이성곤 / 김라희(Tel: 02-3704-4505/4527)

최종 선정학교 발표 일정

  • 1) 발표 일정: 4월 말(예정)
  • 2) 발표 방법: 전화 통보 및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홈페이지 게재
    ※ 유선 알림은 최종 선정된 학교에만 통보



- 담당자: 어린이박물관과 이성곤, 김라희
(02-3704-4505, 4527)
]]>
<![CDATA[국립민속박물관회 2023년도 상반기 성인민속공예교실 모집 안내]]>
(사)국립민속박물관회와 국립민속박물관은 공동주관으로 2023년 상반기 성인민속공예교실 수강생을 모집합니다. 일반인들에게 다양한 전통문화 향유기회 제공을 통해 우리 공예문화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한 강좌이며, 관심 있는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기 간 : 2023. 3. ~ 2023. 6. (각 강좌별로 기간 상이함 / 상∙하반기 총 2회)
  • 주 최 /주 관 : 국립민속박물관 / 국립민속박물관회
  • 장 소 : 국립민속박물관 전통문화배움터
  • 대 상 : 일반인(성인)
  • 내 용 : 전통공예 이론 강의 및 실기(실습위주)
  • 교 육 비 : 각 강좌별 300,000원
    - 상반기 납부 (신청자에 한함)
    - 재료비, 도구구입비는 개인부담.
  • 접 수 : 전화 및 홈페이지, 방문 접수 (입금선착순 마감)
  • 교육비납부 :
    강좌명 계좌 예금주
    한복 만들기 우리은행 / 1005-901-975290 (사)국립민속박물관회
    테마가 있는 닥종이인형 만들기 우리은행 / 1005-801-274992
    박물관 유물과 함께하는 전통한지공예 우리은행 / 1005-701-975284
  • 취소/환불 : 수강신청기간에 한함 (개강전까지)
    강좌 세부일정 강사
    한복 만들기 상반기 : 2023. 3. 6. ~ 2023. 6. 26. (15주)
    매주 월요일 09:30~12:30 (3시간)
    안인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강사
    -연우 전통침선연구소 대표
    테마가 있는 닥종이인형 만들기 상반기 : 2023. 3. 6. ~ 2023. 6. 26. (15주)
    매주 월요일 12:30~15:30 (3시간)
    최옥자
    -전통복식닥종이인형기능전승자
    -종이마당 대표
    박물관 유물과 함께하는 전통한지공예 상반기 : 2023. 3. 6. ~ 2023. 6. 26. (15주)
    매주 월요일 15:30~18:30 (3시간)
    윤서형
    -숙련기술자 지장공예 2022-5호
    -담청한지공예 대표
문 의 : (사)국립민속박물관회 전화 02)3704-3145~6 / 홈페이지 www.fnfmk.or.kr



- 담당자: (사)국립민속박물관회
(02-3704-3145~6)
]]>
<![CDATA[홈페이지 접속 일시중단 안내 (2.15.수 18~21시)]]>

국립민속박물관 네트워크장비 교체작업으로 홈페이지 접속이 일시 중단 되오니 많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중단일시: 2023. 02. 15.(수) 18:00 ~ 21:00 (작업시간은 변동될 수 있음)
  • 중단 누리집: 국립민속박물관 대표 누리집, 파주관 누리집, 어린이박물관 누리집,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민속현장조사, 국제저널무형유산 등 웹서비스



- 담당자: 민속기획과 윤일용
(02-3704-3247)
]]>
<![CDATA[2023 관광통역안내사 전시해설 교육 선정 결과 발표]]>

2023년도 국립민속박물관 관광통역안내사 전시해설 교육에 보내주신 많은 관심 감사드립니다. 2023년 국립민속박물관 관광통역안내사 전시해설 교육생을 다음과 같이 선정하여 알려드립니다.


  • 교육일정
    - 상반기 2023년 2월22일(수), 2월23일(목)
    - 하반기 2023년 8월21일(월), 8월 22일(화)
  • 교육장소 : 국립민속박물관 대강당
  • 담 당 : 하도겸, 최정희 (02-3704-3130, 3123)


교육생 명단

- 교육생 표기 방법: 성*명 (휴대폰 번호 끝자리)
※ 모바일 접속 시 아래 표를 좌우로 움직여 내용을 확인하세요.
상반기 113명
윤*희(7346)       양*애(7159)       서*연(4977)       정*욱(7070)       이*수(5108)       지*욱(5911)       조*정(6393)
홍*영(2820)       김*옥(5023)       성*영(3014)       최*무(8360)       민*환(6813)       이*희(0705)       안*현(8437)
이*자(7175)       김*호(4207)       한*규(3585)       이*민(3141)       신*정(7139)       김*선(1639)       박*욱(8519)
전*숙(4503)       류*문(0001)       김*진(5008)       김*정(6986)       천*수(5358)       김*희(6809)       이*길(6405)
서*선(4636)       이*연(5838)       고*연(1541)       양*귀(2859)       박*원(9629)       홍*경(9149)       정*숙(9529)
김*애(2788)       신*춘(0573)       이*현(3653)       가*홍(4259)       이*은(9592)       박*향(3671)       황*호(2783)
이*옥(0468)       유*라(9613)       박*정(0626)       한*혜(9234)       박*영(2307)       이*원(6208)       석*경(2077)
김*숙(5393)       김*화(3618)       라*현(2673)       송*혜(2239)       안*성(6976)       홍*도(5153)       전*남(2778)
마*워(3569)       윤*숙(5569)       박*란(9182)       김*겸(0654)       황*승(5805)       박*식(1141)       이*우(0779)
정*배(0449)       김*경(9398)       이*향(7133)       이*명(4176)       이*경(4649)       남*옥(9056)       전*영(1677)
이*영(5561)       구*회(4498)       최*리(8406)       노*진(8332)       이*경(4783)       이*연(2774)       고*균(3652)
홍*연(9284)         김*(0609)         남*현(9227)       홍*표(9106)       김*일(0509)       김*진(8399)       이*희(4257)
홍*미(4819)       배*화(4156)       김*수(8048)       김*혜(9580)       황*덕(5179)       정*경(5695)       김*정(9479)
오*비(7706)       김*진(8399)       문*태(6060)       임*수(6234)       김*미(4812)       강*자(2926)       백*순(3943)
박*자(6668)       남*희(7580)       최*례(7045)       신*경(5286)       하*수(8739)       한*희(4087)       이*용(6220)
박*희(6956)       최*경(0032)       안*호(2780)       김*나(6692)       김*아(6005)       한*옥(6165)       이영덕(1033)
조*림(0220)
하반기 85명
윤*희(7346)       양*애(7159)       서*연(4977)       정*욱(7070)       이*수(5108)       지*욱(5911)       조*정(6393)
홍*영(2820)       김*옥(5023)       성*영(3014)       최*무(8360)       민*환(6813)       이*희(0705)       안*현(8437)
이*자(7175)       김*호(4207)       한*규(3585)       이*민(3141)       신*정(7139)       김*선(1639)       박*욱(8519)
전*숙(4503)       류*문(0001)       김*진(5008)       김*정(6986)       천*수(5358)       김*희(6809)       이*길(6405)
서*선(4636)       이*연(5838)       고*연(1541)       양*귀(2859)       박*원(9629)       홍*경(9149)       정*숙(9529)
김*애(2788)       신*춘(0573)       이*현(3653)       가*홍(4259)       이*은(9592)       박*향(3671)       황*호(2783)
이*옥(0468)       유*라(9613)       박*정(0626)       한*혜(9234)       박*영(2307)       이*원(6208)       석*경(2077)
김*숙(5393)       김*화(3618)       라*현(2673)       송*혜(2239)       안*성(6976)       홍*도(5153)       전*남(2778)
마*워(3569)       윤*숙(5569)       박*란(9182)       김*겸(0654)       황*승(5805)       박*식(1141)       이*우(0779)
정*배(0449)       김*경(9398)       이*향(7133)       이*명(4176)       이*경(4649)       남*옥(9056)       전*영(1677)
이*영(5561)       구*회(4498)       최*리(8406)       김*희(3654)       하*린(1537)       허*라(2722)       최*현(5083)
이*경(9888)       이*희(5120)       채*혜(7820)       박*라(8717)       김*일(2521)       김*숙(4349)       강*화(2188)
박*아(8862)




- 담당자: 섭외교육과 하도겸, 최정희
(02-3704-3130, 3123)
]]>
<![CDATA[어린이박물관 상설전시1 《우리 이제 만나요》 운영기간 변경 안내]]>

2023년 어린이박물관 상설전시1 《달토끼와 산토끼(가제)》 개편을 위해 기존 전시인 《우리 이제 만나요》를 조기 종료합니다. 관람객 여러분의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 상설전시2 《오늘은 어린이날, 소파 방정환의 이야기 세상》은 관람 가능합니다.

  • <우리 이제 만나요> 전시 종료: 2023년 3월 5일(일)
  • 상설전시1 휴관 기간: 2023년 3월 6일(월) ~ 2023년 4월 24일(월)
  • 재개관: 2023년 4월 26일(수)



- 담당자: 어린이박물관과 유민지
(02-3704-4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