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국립민속박물관 새소식]]> ko-kr kotranews Thu Jul 10 11:15:49 KST 2025 <![CDATA[제14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 및 정보보호 컨퍼런스 안내]]> AI시대,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안심 국가 구현 제14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 및 정보보호 컨터런스 The 14th Information Security Day Ceremony 2025. 7. 9.(수) 서울드래곤시티호텔. AI가 중심이 된 기술 혁신이 우리의 삶과 사회 전반에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는 지금, 정보보호는 국가와 사회, 그리고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지키는 핵심 가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정보보호의 중요성을 다시금 조명하고, 미래 전략을 함께 모색하고자 정보보호 분야의 핵심 리더와 전문가, 국민이 한자리에 모여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의 협력, 혁신, 그리고 책임에 대해 논의하는 특별한 자리로 마련되었습니다. 함께해 주신다면 큰 영광이 될 것이며, 행사의 의미 또한 한층 깊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깊은 존경과 함께 초청의 뜻을 전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유상임, 한국인터넷진흥원 원장 이상중. 행사일정. 시간과 내용으로 구분하여 보여주는 표. 식전 09:00~10:00, 참가자 등록. 기조연설 10:00~11:00, 기조연설. 기념식 11:00~11:45, 개회 및 국민의례, 홍보영상 상영, 축사, 주요내빈 세레모니 등, 폐회선언 및 퇴장. 오찬 12:00~13:30, 오찬. 부대행사 13:30~17:45, 정보보호의 현재와 미래 컨퍼런스. 14:00~16:00, 지역 사이버보안 정책 확산 협의회. 정보보호 제품 전시회 부스운영(10:00~17:00). 상기 계획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오시는 길.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20길 95, 지하철 이용시 1호선 용산역 3번 출구에서 도보 3분 거리, 4호선 신용산역 5번 출구에서 도보 10분 거리, 버스 이용시 가산/여의도 방면 5012, 신사/압구정 방면 400, 서울역 방면 505. 주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정보원, 행정안전부. 주관: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
<![CDATA[제20기 전통문화지도사 양성교육 수강생 모집]]>
국립민속박물관과 (사)국립민속박물관회는 우리문화를 활성화하고 전통문화 현장을 지도할 수 있는 ‘전통문화지도사 양성교육’을 매년 실시하고 있습니다.
실무와 현장교육에 도움이 되는 강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부담 없이 전통문화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교육기간: 2025. 8. 7 - 2025. 12. 18 (매주 목요일, 13:30~16:30)
  • 교육인원: 200명 내외
  • 교육장소: 국립민속박물관 대강당
  • 수강료: 340,000원 (교재포함, 답사비 별도)
  • 접수기간: 정원 모집 시까지, 입금 선착순
  • 접수방법: 전화, 인터넷 접수 후 온라인 입금
  • 입금방법: 우리은행, 082-029386-13-102 / 예금주 - (사)국립민속박물관회
    국립민속박물관회
    전화 : 02)3704-3145~6
    팩스 : 02)3704-3147
    홈페이지 http://www.fnfmk.or.kr
  • 교육내용
    일자 교육내용
    08/07 개강 서울문화순례 최준식 /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08/14 역사와 문화 근대문화유산과 노스탤지어의 기획 정수진 /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 연구교수
    08/21 답사 기획, 운영 및 사후관리 분석 임찬웅 / 여행엽서 대표
    08/28 답 사
    09/04 한국의 향교와 서원 김경선 / 성균관 석전교육원 교수
    09/11 한국의 사찰문화 : 가람 배치 박경식 / 단국대학교 명예교수
    09/18 답 사
    09/25 숲과 문화, 나의 소나무 답사기 전영우 /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10/02 추석 연휴
    10/16 국립민속박물관 상설전시2 : <한국인의 일 년> 정연학 /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10/23 민속문화
    일반
    답 사
    10/30 민중 생활상 연구로서 민속학 임장혁 /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11/06 한국의 민간신앙 이관호 / 한국박물관교육학회 회장
    11/13 답 사
    11/20 한국 신화의 재발견 권태효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원
    11/27 마을의 문화유산과 놀이문화 서종원 / 한국민속예술연구원 학술원장
    12/04 답 사
    12/11 한국의 관광문화 축제 김장환 / 용인인문학연구소 소장
    12/18 전통문화
    콘텐츠 및
    스토리텔링
    풍수의 이해와 답사 정경연 /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교수
    ※ 본 강좌는 강사의 사정 및 기타의 사유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담당자: 국립민속박물관회
(02-3704-3145~6)
]]>
<![CDATA[[2025년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여름방학교육]〈보존과학자의 가방〉교육프로그램 안내]]>

학예연구사는 박물관에서 어떤 일을 할까요?
국립민속박물관 파주는 방학을 맞이한 초등학생 및 중·고등학생 가족 여러분을 대상으로 전시 중인 소장품 ‘신구법천문도병’ 연계 방학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이번에는 학예연구사의 직무 중 보존과학 분야를 알아보는 체험프로그램 “보존과학자의 가방”이 진행됩니다.


  • 교육명: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여름방학교육] <보존과학자의 가방>
  • 교육 일정: 총 8회, 회당 6가족
    날짜 시간 장소
    7월 29일(화), 30일(수) 오전 10:00 ~ 12:00
    오후 14:00 ~ 16:00
    교육실1
    8월 5일(화), 6일(수)
  • 교육 대상: 초등학생(고학년) 및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가족
  • 교육비: 무료
  • 교육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로 30) 교육실1
  • 신청 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신청 (신청시 인원수 필히 기재_ 예시: 초등1 중등1 성인1)
  • 교육 신청기간: 2025. 7. 7.(월) 09:00 ~ 7. 25.(금) 18:00
    ※ 교육 취소 시, 교육일 일주일 전까지 담당자 이메일(fkmgl19@korea.kr) 취소 의사 송부
  • 교육내용
    - 박물관 학예연구사(보존과학 분야)의 역할·활동 이해
    - 보존과학자의 가방 키트를 활용한 지류 소장품 보존체험 및 보존과학 이해
  • 유의 사항
    - 교육내용 및 일정 등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교육 신청은 가족 단위로 할 수 있습니다. (신청시 인원수 필히 기재)
    - 교육 참가자에게는 교육일 전날 오후에 별도 교육 안내 문자가 발송됩니다.
    - 파주관에 대한 별도 전시 관람 예약 절차는 없습니다.
  • 교육 문의: 유물과학과 (031-580-5844 / 5875)

◈ 교육 관련 사진

보존과학자의 가방 키트 보존과학자의 가방 키트 내부 사진
보존과학자의 가방 키트 안 교육자료 교육을 듣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
]]>
<![CDATA[2025년 국립민속박물관 공동학술대회 추가 운영 안내]]>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민속학 관련 학계의 학술 진흥 및 교류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공동학술대회 사업을 추가 운영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신청 대상

  • 민속학 관련 학술단체 가운데 아래 요건을 충족하는 단체
    - 학술진흥법상의 학술단체, 대학 및 국·공립 기관의 부설 연구기관, 그 외 학술활동 목적의 비영리단체 중 박물관 사업 취지에 부합하는 단체
  • 접수 안내일 기준 선착순 5개 단체

사업 진행 절차

학술대회 신청 학술대회 확정 학술대회 개최
  • 사전신청서제출(양식첨부)
    (chun3@korea.kr)
  • 내부검토 후 승인*
  • 신청공문 제출
  • 장소대관(대관료면제)
  • 인쇄물 제작비 지원
    (최대 150만 원)
  • 역할분담
    - (학술단체)
    학술대회 기획 및 진행**
    - (국립민속박물관)
    장소 제공 및 현장 관리
* 승인기준: 민속학 관련 학술단체, 비영리 목적, 관내 장소제공 가능 여부 등
**권장사항: 국립민속박물관 발표․토론 공동 참여 권장

준수사항

  • 가. 각종 인쇄물(초청장, 현수막, 발표자료집 등)에 공동주최 명기
  • 나. 대회장 내 화기 취급 엄금 및 음식물 반입 금지
  • 다. 대회장 주변 및 박물관 내외부 전체 구역 흡연 금지
  • 라. 판매 및 판촉행위 금지(수익성 학술대회로 밝혀질 경우, 향후 공동주최 불가)
  • 마. 학술대회 결과물(발표자료집) 5부와 PDF파일 제출
  • 바. 학회 종료 후 행사장 정리 정돈
    * 관내 주차장 이용 불가, 대중교통 이용
    *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 경복궁 주차장(유료) 등 이용

접수 및 문의

  •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연구과 공동학술대회 담당자 (chun3@korea.kr / 02-3704-3232)



- 담당자: 민속연구과
(02-3704-3232)
]]>
<![CDATA[청소년 자기주도관람〈맘잔잔 박물관 거닐기〉안내]]>
국립민속박물관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관람 활동인 <맘잔잔 박물관 거닐기>를 운영합니다. 청소년기는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경험하기 쉬운 시기입니다. 이 시기 감정을 기반으로 한 박물관 관람 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알아가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 교육기간: 학기 중
  • 접수기간: ~마감시까지
  • 접수대상: 청소년(중·고등학교) 단체
  • 교육방법: 교육을 신청한 단체의 교사의 지도 및 안내로 교육 운영(활동 안내서 참조)
    1) 교육 신청일에 활동지 배부 및 활동 유선 안내
    2) 교육 신청 및 접수 후 교육 당일 활동지 현장 배부
  • 신청방법: 담당자와 유선 협의 후 참가 확정되면 신청서를 작성하시어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 담당자 이메일: sy0680sy@korea.kr
    - 연락처: 02-3704-3105, 3106
  • 문의: 섭외교육과 청소년 교육 담당(02-3704-3105/3106)

]]>
<![CDATA[청소년 전환기 교육〈2025 박물관 틴즈〉 안내]]>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중도입국청소년들을 대상으로 <2025 박물관 틴즈>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교육기간: 8. 5. / 8. 12. / 8. 19. (매주 화요일) 10:00~12:00
  • 접수기간: ~마감시까지
  • 교육장소: 국립민속박물관 전통문화배움터, 전시실
  • 접수대상: 중도입국청소년
  • 모집인원: 20명 내외
  • 문의: 섭외교육과 청소년 교육 담당(02-3704-3105/3106)
  • 접수방법: 구글폼 접수

중도입국 청소년 여름방학 프로그램. 2025 박물관 틴즈. #당신이_좋아하는. #입고, 먹고, 살고. K-Culture 한국의 의식주 생활문화를 탐구하고 나만의 문화를 찾아보아요! 8월 5일부터 8월 19일까지. 매주 화요일 10시부터 12시까지. 국립민속박물관.

2025 박물관 틴즈. 국립민속박물관은 우리 일상과 삶을 소개하는 공간입니다. 2025 박물관 틴즈는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하여 준비한 한국의 의식주와 나의 문화를 함께 살펴보며 나만의 문화를 찾아가는 프로그램입니다. 여름방학을 국립민속박물관에서 함께 즐겨볼까요?! 국립민속박물관

교육 개요. 과정명. 2025 박물관 틴즈. 교육대상. 중도입국청소년(외국에서 성장하다 학령기에 한국에 입국한 청소년). 교육일시. 8월 5일, 8월 12일, 8월 19일(매주 화) 10시부터 12시까지(2시간) / *총 3회차 진행, 중복 접수 가능. 교육내용. 1회차) 주생활 속 자신을 통해 본 나의 마음. -야외전시장 활동, 나만의 모루 인형 만들기. 2회차) 식생활을 통해 본 한국의 세시. -한국인의 일년(2관) 활동, 한국 전통 과자 만들기. 3회차) 의생활을 통해 본 일생의례. -한국인의 일생(3관) 활동, 나만의 코스터 만들기. 교육장소. 국립민속박물관 전통문화배움터(대면교육). 교육문의. 02-3704-3105~6. 교육신청. 구글폼(https://forms.gle/Tcx2YcoJMWJ8bS4T7) 접수. 국립민속박물관.


]]>
<![CDATA[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열린 수장고(16수장고) 임시 휴관 안내 (7.22.)]]>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열린 수장고(16수장고)가 수장형 전시《겹빛: Where Gleams Overlap》준비로 임시 휴관합니다.
16수장고를 제외한 다른 열린 수장고와 관람 시설은 모두 정상 운영합니다.
관람객 여러분의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 휴관 일자: 2025년 7월 22일(화)
  • 재개관: 2025년 7월 23일(수)《겹빛: Where Gleams Overlap》전시 개막



- 담당자: 유물과학과
(031-580-5806)
]]>
<![CDATA[2025년 8월 중&middot;고등학생 자원봉사활동 안내]]>

개요

  • 활동일자 : 2025년 8월 2일~8월 31일 매주 토,일
    ※ 당일 중복 신청 불가능
  • 활동대상 : 중·고등학생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
  • 참여인원 : 토, 일요일_4명
  • 활동시간 : 1일 3시간(9:30~12:30), 3시간(14:00~17:00) *3시간 이상 활동 불가능
  • 활동내용 : 어린이박물관 전시실 질서유지 및 체험활동 지원
  • 활동과정 : 출석확인-사전교육-봉사활동
 

신청 접수

  • 신청기간 : 2025.7.1.(일) AM 0시부터 온라인 접수 시작
    *승인확인 후 봉사 가능(주말 접수 시 주중 승인 가능)
  • 신청방법 : 1365자원봉사포털(https://1365.go.kr) 회원가입 후 신청 및 접수
    *활동대상 선정은 선착순 접수
  • 신청확인 : 나의 자원봉사 → 봉사활동 참여정보 → 봉사신청 내역
    *학생 본인 아이디로 로그인 후 신청한 날짜와 분야 확인 후 활동에 참가
 

자원봉사자 모임 장소 및 지참물

  • 장소·시간 : 어린이박물관 안내데스크, 9시 20분(오전), 13시 50분(오후)까지 집결
  • 지참물 : 학생증 *없을 시 본인증명 가능한 것으로 대체 가능. 미지참시 출석인정 불가
  • 복 장 : 봉사활동에 맞는 편안하고 단정한 복장
    *모자·슬리퍼·짧은 스커트 및 바지·체육복·진한화장 등 학생품위 손상 자제
 

유의사항

  • 자원봉사활동 취소 대상자
    - 1365자원봉사포털(https://1365.go.kr) 접속 로그인 → 나의 자원봉사 → 봉사활동 참여정보 → 봉사신청 취소
    *접수 중인 경우에만 취소 가능. 승인 완료인 경우 전화 연락으로 취소 가능
    - 신청취소 하지 않은 경우, 다음 신청에서 제외. 전화 취소의 경우 2번 이상 누적되면 다음 신청에서 제외됩니다.
  • 봉사신청 승인완료 대상자
    - 취소를 원하는 사람은 최소 3일 전에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대리인 신청 등으로 인하여 확인서에 활동 학생이름과 연락처 표기가 다른 경우 출석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 온라인 접수만 가능합니다. 전화 신청은 받지 않습니다.
    *‘1365자원봉사포털’ 이용방법은 1365 고객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청소년의 경우 담임선생님이나 봉사활동 선생님과 상담 후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당일 불참 시 활동이 제한 됩니다.
  • 자원봉사활동 관련 문의처
    - 02 3704 4527 어린이박물관과 최효경
 




- 담당자: 어린이박물관과 최효경
(02-3704-4527)
]]>
<![CDATA[상설전시관 1 임시 휴관 안내(6. 27.금 15:00~24:00)]]>

상설전시관 1 《한국인의 오늘》  전시장 보완 작업을 위해 임시 휴관합니다. 관람객 여러분의 양해를 부탁 드립니다.



  • 휴관 일자: 2025년 6월 27일(금), 15:00부터  24:00까지
    * 재개관: 2025년 6월 28일(토)



- 담당자: 전시운영과
(02-3704-3095)
]]>
<![CDATA[2025년 국립민속박물관, 민속기록학회 공동학술대회 (일시: 6. 21.(토))]]> 학술대회 개요
  • 대회명: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민속기록학회 공동학술대회
  • 주제: 민속현장의 기록
  • 일시: 2025. 6. 21.(토), 13:20~18:00
  •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전통문화배움터
  • 주최: 국립민속박물관, 민속기록학회
  • 문의 전화: 02-3704-3232

학술대회 안내
2025 민속기록학회 상반기 학술대회. 민속현장의 기록. 이번 학술대회는 북한지역의 민속기록에서부터 유성기 기록, 서낭신앙의 종교적 성격과 의미 구조, 아리랑에 대한 독립신문의 기록과 영화 주제가 아리랑에 대한 문제 등 다양한 주제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회원 여러분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일시: 2025년 6월 21일(토) 13시 20분부터 18시까지.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전통문화배움터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접수 및 개회사. 13시 20분부터 13시 30분까지. 개회사 양종승 회장. 제1부 민속현장의 기록. 사회자: 배명숙(한국여성생활연구원) 13시 30분부터 13시 55분까지. 1960년대 중반까지 북한에서 기록된 구전문학 및 민속학 연구의 실상과 그 비판적 분석. 발표자: 김광식(충남대). 토론자: 박환영(중앙대). 13시 55분부터 14시 20분까지. 황해도 해주탈춤 기록과 고증에 따른 복원과 전승. 발표자: 양종승(샤머니즘박물관) 토론자: 오진희(고려대). 14시 20분부터 14시 45분까지. 유성기 기록을 통해 본 근대 연희특징. 발표자: 유수영(전남대). 토론자: 서인화(서울시무형유산위원회). 14시 45분부터 15시까지 중간 휴식. 제2부 자유 주제. 사회자: 박지윤(한국의례문화연구소). 15시부터 15시 25분까지. 서낭신앙의 종교적 성격과 의미 구조 - 서울·경기지역의 무당과 주민의 종교적 실천을 중심으로. 발표자: 김덕묵(한국외대) 토론자: 김주형(평산소놀음굿보존회). 15시 25분부터 15시 50분까지 독립신문 기록을 통한 애국가 작사자 문제. 발표자: 김연갑(아리랑연합회) 토론자: 고헌균(헐버트재단). 15시 50분부터 16시 15분까지 영화 주제가 아리랑의 정전화 과정 연구. 발표자: 기미양(아리랑학회) 토론자: 김경순(KBS) 16시 15분부터 16시 30분까지 중간 휴식. 종합토론 16시 30분부터 18시까지. 발표자, 토론자 및 참가자 전원. 국립민속박물관 민속기록학회
]]>
<![CDATA[2025년 국립민속박물관 학술대회 &lt;세계로 열린 창: 세계 생활사 자료 수집과 활용&gt; 개최(6.23.(월))]]> 학술대회 개요
  • 대회명: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 학술대회 ‘세계로 열린 창: 세계 생활사 자료 수집과 활용’
  • 개최일시: 2025. 6. 23.(월) 14:00~17:00
  •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대강당 (서울 종로구 삼청로 37)
  • 참여대상: 학술대회 주제에 관심있는 누구나
  • 참여방법: 현장 참여 및 유튜브 생중계(국립민속박물관 공식 계정)
    ※ 국립민속박물관 공식 유튜브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tnfmk
  • 진행방식: 현장 발표(3개 주제) 및 토론
  • 내용: 세계 생활사 이해의 필요성과 국립박물관으로서의 역할, 세계 생활사 자료의 수집과 활용방안 논의 등


학술대회 안내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 학술대회 세계로 열린 창: 세계 생활사 자료 수집과 활용 2025년 6월 23일(월) 14시부터 17시까지. 국립민속박물관 대강당. 국립민속박물관 대강당 사회: 김창호(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시간, 주제, 발표자 및 토론자로 구분하여 보여주는 표 14시부터 14시 10분까지. 개회사. 장상훈(국립민속박물관장) 14시 10분부터 14시 30분까지. 발표 주제 1. 세계 생활사 이해의 필요성과 박물관의 역할: 세계민속악기박물관을 중심으로. 발표: 이영진(세계민속악기박물관장) 14시 30분부터 14시 50분까지. 발표 주제 2. 세계 생활사 연구 및 자료 수집 활성화를 위한 일본국립민족학박물관의 조직과 운영 사례. 발표: 제소희(일본국립민족학박물관 교수) 14시 50분부터 15시 10분까지. 발표 주제 3. 국외 민속문화 전시 전략에 대한 제언. 발표: 오창현(국립목포대학교 교수) 15시 10분부터 15시 30분까지. 휴식 15시 30분부터 17시까지. 발표 주제별 지정토론 및 종합토론. 좌장: 정연학(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과장) 발표 주제별 지정토론. 발표 1: 박혜원(국립세계문자박물관 전시운영부장). 발표 2: 위철(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발표 3: 이대화(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CDATA[『민속학연구 제57호』논문 모집(~8. 31.) ]]>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발간하는 『민속학연구』 제57호에 게재할 논문을 모집합니다. 투고 논문은 일련의 절차에 따라 심사를 거치며, 게재 논문에 대해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합니다. (논문의 분량은 200자 원고지 150매 이내로 하며, 사진·도면(1장=200자 원고지 1매로 환산) 등을 포함하여 200매를 초과할 수 없음)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학술지인 『민속학연구』에 민속학 연구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투고 부탁드립니다.



모집분야

  • 일반논문: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학 등의 민속 관련 연구 논문


원고마감일

  • 2025년 8월 31일(민속학연구 제57호 - 2025년 11월 30일 발간 예정)


원고양식

  • 국립민속박물관 홈페이지(www.nfm.go.kr) 첨부파일 등 참조


제출목록

  • 원고 1부(국문초록 포함)
  • 원고 송부장
  • 투고 확인서
  • 저작권공동소유동의서
  • 정보수집동의서 (박물관 소정양식)


원고제출방식

  • ※ 논문투고는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투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투고논문 접수가 간혹 잘 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투고 후 담당자에게 전화 연락 바랍니다.
  •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전화 문의 바랍니다.



- 담당자: 민속연구과
(02-3704-3207, 3204)
]]>
<![CDATA[2025년 하반기 우리민속한마당 공연자 선정 결과]]>
2025년 하반기 우리민속한마당 공연에 출연 신청을 해주신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5년 하반기 우리민속한마당 공연에 선정되신 분들께는 별도 연락을 통해 공연 일자를 확정하오니 이에 적극 협조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심사결과

  • 토요공연: 26팀
    연번 장르 공연제목 공연자(팀)대표
    1 무용 碧史_춤을 짓다, 碧也_춤을 잇다 Ⅲ 이*주
    2 은*량의 舞 '시간을 넘어 춤추다' 은*량
    3 차*언의 춤 '연하일휘(煙霞日輝)' 차*언
    4 춤 벗 최*희
    5 무중유도-춤 속에서 도원을 노닐다. 임*희
    6 김*희의 춤 '고풍화첩' 김*희
    7 고*세 춤판 -바람 분다. 춤추러 가자- 고*세
    8 춤, 향연 강*정
    9 가을의 춤 풍경 유*숙
    10 춤 그 길을 걷다 곽*내
    11 음악
    (성악)
    춤추는 바다 '금(琴)의 소리' 강*숙
    12 *선 가야금병창 '民謠' *선
    13 서도산가(西道山歌) 이*주
    14 바라공주의 소리찾기 창작집단 더*기
    15 도시풍월, 구음으로 짓다. 한*코
    16 소리꾼 전*훈의 경기민요, '요(謠)놂! 잡아라' 전*훈
    17 음악
    (기악)
    세종대왕이 사랑한 궁중악사, 관**인과 함께하는 '우리국악 너른 잔치' 관**인전통예술단
    18 신청축원 신*악회
    19 잊힌 선율, 심상건 산조의 맥을 잇다 서*숙
    20 황해도 시나위와 풍류소리 이*균
    21 국악으로 희망의 여정을!! 사물놀이 땀*
    22 연희
    기타
    우환은 벗고 운을 입다 임*경
    23 탈을 쓰다, 과거를 잇다. ~양주**대놀이~ 양주**대놀이보존회
    24 신명의 땅 제주의 놀이 권*성
    25 꼭두각시놀음 남*문
    26 젊은 풍류 '민속악의 울림' 소*

  • 금요공연: 4팀
    연번 장르 공연제목 공연자(팀)대표
    1 연희 신명의 곳간을 열어주는 '곡**동농악' 곡**동농악보존회
    2 옴니버스 인형극_음**깽 인형극장 연희공방 음**깽
    3 융복합 퓨전콘서트 '무브먼트 樂樂' 조*성
    4 天奪氣魄(천탈기백): 하늘이 넋을 빼앗은 것처럼 예*회






- 담당자: 섭외교육과
(02-3704-3103)
]]>
<![CDATA[특별전〈오늘도, 기념: 우리가 기념품을 간직하는 이유〉전시해설 운영 안내 (운영기간: 6. 16.(월) ~ 9. 12.(금))]]>
  • 대상 : 관람객 누구나
  • 모이는곳 : 기획전시실 1 입구
  • 참여방법
    - <정기해설> 현장 접수
    - <예약해설> 5명 이상 단체, 사전 신청(전화)
  • 소요시간 : 약 30분
  • 이용요금 : 무료
  • 정기해설 및 예약해설 운영 안내
    제공언어 구분 운영기간 요일 해설시간
    한국어 정기해설 ’25. 6. 16.(월)~9. 12.(금) 월~금 11:00
    예약해설 ’25. 6. 16.(월)~9. 12.(금) 월~금 사전협의
    ※예약해설 : 희망일 3일 전까지 전화 신청 ☎02-3704-3129
  • 전시해설 관련 문의 : 02-3704-3129 (월~금 9:00-12:00, 13:00-18:00)
    ※ 주말 및 공휴일에는 특별전 전시해설을 운영하지 않습니다.
    ※ 상기 일정은 박물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담당자: 섭외교육과
(02-3704-3129)
]]>
<![CDATA[2025년 7월 중&middot;고등학생 자원봉사활동 안내]]>

개요

  • 활동일자 : 2025년 7월 5일~7월 27일 매주 토,일
    ※ 당일 중복 신청 불가능
  • 활동대상 : 중·고등학생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
  • 참여인원 : 토, 일요일_4명
  • 활동시간 : 1일 3시간(9:30~12:30), 3시간(14:00~17:00) *3시간 이상 활동 불가능
  • 활동내용 : 어린이박물관 전시실 질서유지 및 체험활동 지원
  • 활동과정 : 출석확인-사전교육-봉사활동
 

신청 접수

  • 신청기간 : 2025.6.1.(일) AM 0시부터 온라인 접수 시작
    *승인확인 후 봉사 가능(주말 접수 시 주중 승인 가능)
  • 신청방법 : 1365자원봉사포털(https://1365.go.kr) 회원가입 후 신청 및 접수
    *활동대상 선정은 선착순 접수
  • 신청확인 : 나의 자원봉사 → 봉사활동 참여정보 → 봉사신청 내역
    *학생 본인 아이디로 로그인 후 신청한 날짜와 분야 확인 후 활동에 참가
 

자원봉사자 모임 장소 및 지참물

  • 장소·시간 : 어린이박물관 안내데스크, 9시 20분(오전), 13시 50분(오후)까지 집결
  • 지참물 : 학생증 *없을 시 본인증명 가능한 것으로 대체 가능. 미지참시 출석인정 불가
  • 복 장 : 봉사활동에 맞는 편안하고 단정한 복장
    *모자·슬리퍼·짧은 스커트 및 바지·체육복·진한화장 등 학생품위 손상 자제
 

유의사항

  • 자원봉사활동 취소 대상자
    - 1365자원봉사포털(https://1365.go.kr) 접속 로그인 → 나의 자원봉사 → 봉사활동 참여정보 → 봉사신청 취소
    *접수 중인 경우에만 취소 가능. 승인 완료인 경우 전화 연락으로 취소 가능
    - 신청취소 하지 않은 경우, 다음 신청에서 제외. 전화 취소의 경우 2번 이상 누적되면 다음 신청에서 제외됩니다.
  • 봉사신청 승인완료 대상자
    - 취소를 원하는 사람은 최소 3일 전에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대리인 신청 등으로 인하여 확인서에 활동 학생이름과 연락처 표기가 다른 경우 출석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 온라인 접수만 가능합니다. 전화 신청은 받지 않습니다.
    *‘1365자원봉사포털’ 이용방법은 1365 고객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청소년의 경우 담임선생님이나 봉사활동 선생님과 상담 후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당일 불참 시 활동이 제한 됩니다.
  • 자원봉사활동 관련 문의처
    - 02 3704 4527 어린이박물관과 최효경
 




- 담당자: 어린이박물관과 최효경
(02-3704-4527)
]]>
<![CDATA[『국제저널 무형유산』 제21호 논문 모집(투고기간: 8. 1. ~ 9. 30.) ]]>

국립민속박물관이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국제박물관협의회 한국위원회(ICOM-Korea)와 공동 발간하는 『국제저널 무형유산(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제21호에 게재할 논문을 모집합니다.

『국제저널 무형유산』은 2004년 제32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채택된 "무형유산 보호 협약"과 2004년 "박물관과 무형문화유산"을 주제로 열린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서울 총회의 결의로 2006년에 창간된 세계 최초 무형유산 분야 국제학술지입니다.

예술인문학인용색인(A&HCI) 등 여러 국제학술지 색인 목록에 등재된 『국제저널 무형유산』에 연구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투고 부탁드립니다.

* 등재 Index: KCI(Korea Citation Index), A&HCI(Arts and Humanities Citation Index), IBSS(International Biography of the Social Sciences), Scopus, MLAIB(Modern Language Association International Bibliography), BAS(Bibliography Asian Studies)



모집분야

  • 무형유산 관련 연구 영문 학술논문과 서평
    (논문: 5,000 ~ 8,000자 / 소논문, 서평: 2,000 ~ 5,000자)


투고기간

  • 2025년 8월 1일 ~ 9월 30일(국제저널 무형유산 제21호 - 2026년 5월 말 발간 예정)


원고양식

  • 국제저널 무형유산 홈페이지(https://www.ijih.org)의 <논문투고-투고자 가이드라인> 참조


제출목록

  • 영문 원고 1부(영문초록 포함)


원고제출방식

  • ※ 논문투고는 국제저널 무형유산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투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투고 원고는 다른 학술지 또는 다른 간행물에 게재되었거나 다른 학술지에 투고하여 심 사가 진행 중인 사실이 없어야 합니다.
  •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전화 혹은 이메일 문의 바랍니다.
    • 담당자 전화: 02)3704-3203, 3234
      이메일: ijih.secretariat@gmail.com



- 담당자: 민속연구과
(02-3704-3203, 3234)
]]>
<![CDATA[2025년 &lt;여름의 시작 단오&gt; 세시 행사 안내]]>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2025년 단오(5월 31일)를 맞이하여 <여름의 시작 단오> 세시 행사를 개최합니다. 예로부터 단오에 즐겼던 다양한 세시 풍속을 체험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준비한 행사를 즐기며 올 여름을 건강하고 시원하게 맞이하시길 바랍니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만나는 세시풍속 Experiencing Seasonal Customs of NFMK. 여름의 시작 단오 The Beginning of Summer DANO. 국립민속박물관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 본관 행사 일정

구분 연번 행사명 날짜 운영시간 장소 행사내용 참가방법
시연 1 창포물 머리 감기 5.29.
(목)
14:00~15:00 오촌댁 기자 포토타임
관람객 체험 현장참여
세시체험 2 단오 부채 나누기 5.31.
(토)
11:00,
13:00,
15:00
로비 상설전시관2 단오 코너의 단오 부채 사진 인증 후 부채 나누기(선착순, 회당 200개) 현장참여
3 단오 절식 맛보기
(수리취떡)
10:00,
12:00,
14:00
로비 상설전시관2 단오 코너의 수리취떡 사진 인증 후 절식 나누기(선착순, 회당 200개) 현장참여
4 단오 부적 찍기 10:00~17:00 로비 액운을 물리치는 단오 부적 찍기 현장참여
5 장명루 만들기 10:00~12:00
13:00~16:00
로비 무병장수 기원 팔찌 만들기 현장참여
6 창포 비누 만들기 10:00~12:00
13:00~16:00
로비 천연 창포 비누 만들기 현장참여
7 모두 함께 놀이마당 10:00~17:00 놀이
마당
제기, 팽이, 투호 등 자유놀이 자율참여
씨름 8 단오맞이 씨름대회 15:00~17:00 본관
앞마당
성인부 여성, 남성 씨름대회 현장참여
9 단오맞이 씨름 체험교실 13:00~14:00 본관
앞마당
씨름 시범 강의, 씨름 체험 현장참여
추억의 거리 10 7080 만화보고 가자 10:00~17:00 꾸러기
만화
추억의 만화책 보기 자율참여
11 7080 느낌따라 사진 찰칵! 10:00~17:00 스타
의상실,
서울사장
7080 유행 옷 입고 사진관에서 사진찍기 자율참여
12 DJ, 이 음악을 틀어줘요! 10:00~12:00
13:00~16:00
약속다방 DJ와 함께하는 7080 신청곡 체험 자율참여
13 추억의 골목 놀이 10:00~17:00 근대화
슈퍼 앞
사방치기, 고무줄놀이, 비석치기 등 자율참여
공연 14 수리 수리 마수릿 14:00~15:00 오촌댁 앞마당 단오맞이 특별공연 현장참여



2. 파주관 행사 일정

구분 연번 행사명 날짜 운영시간 장소 행사내용 참가방법
파주 1 단오 수장고 해설 5.31.
(토)
10:00~12:00
14:00~15:00
파주관 로비 단오 특집 도슨트 수장고 해설 현장참여
2 단오 스탬프 투어 10:00~17:00 파주관 전체 수장고를 관람하면서
스탬프 모으고 기념품 받기
현장참여
3 단오 부적 찍기
“한 해의 복을 기원해요”
10:00~17:00 파주관 로비 한 해의 복을 기원하며 단오 부적 찍기 체험 현장참여
4 단오 부채 만들기
“단오 풍경을 선물해요”
10:00~11:30
13:00~14:30
15:00~16:30
파주관 로비 한지 프린트 단오 풍경 이미지로 나만의 단오 부채 제작 체험 현장참여





[ 주요 사진 ]

창포물에 머리감기
▲ 창포물에 머리감기
단오 절식 맛보기
▲ 단오 절식 맛보기
단오 부적 찍기
▲ 단오 부적 찍기
▲ 단오맞이 씨름대회
▲ 단오맞이 씨름대회
창포 비누 만들기
▲ 창포 비누 만들기
장명루 만들기
▲ 장명루 만들기
단오 부채
▲ 단오 부채
]]>
<![CDATA[2025년 국립민속박물관&middot;비교민속학회 공동학술대회 (일시: 5. 24.(토))]]> 학술대회 개요
  • 대회명: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비교민속학회 공동학술대회
  • 주제: 로컬리티의 민속학: 지역학으로서의 민속학
  • 일시: 2025. 5. 24.(토), 13:00~18:00
  •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전통문화배움터
  • 주최: 국립민속박물관, 비교민속학회
  • 문의 전화: 02-3704-3232

학술대회 안내
2025년 비교민속학회·국립민속박물관 공동기획 춘계학술대회. 주제: 로컬리티의 민속학: 지역학으로서의 민속학. 일시: 2025년 5월 24일(토) 13:00~18:00.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전통문화배움터. 접수(13:00~13:20) 13:20~13:30 개회사 정연학(학회장) 제1부 발표 및 토론 | 좌장: 신호림(국립경국대) 13:30~14:10 줄풍류 영산회상의 지역 횡단적 창조성. 이수경(한중연). [토론] 임니나(한중연) 14:10~14:50 강원지역 문학·문화자산으로서의 경춘선 연구. 오준호(강원대). [토론] 최빛나라(고려대) 휴식(12:50~15:00) 제2부 발표 및 토론 | 좌장: 한남수(선문대) 15:00~15:40 지역의 타자화와 도시민속의 길항(拮抗). 김정하(한국해양대). [토론] 오문선(서울공예박물관). 15:40~16:20 국립영화제작소 영상을 통해 본 지역문화와 전통문화의 연관성: 경주와 안동을 소재로 한 영상을 중심으로. 이상현(국립경국대). [토론] 김시덕(을지대) 휴식(16:20~16:30) 제3부 발표 및 토론 | 좌장: 김혜미(한림대) 16:30~17:10 고전소설에 수용된 부여 조룡대 전설의 활용양상. 김순재(충남대). [토론] 김호성(한국교통대) 17:10~17:50 경남 남해안 지역 설운장군 설화의 양상과 지역사적 의미. 이예지(경상국립대). [토론] 윤준섭(충남대) 폐회사(17:50~18:00) | 총무이사: 박시언 주최: 비교민속학회, 국립민속박물관 후원: 국립민속박물관



- 담당자: 민속연구과
(02-3704-3232)
]]>
<![CDATA[2025년 국립민속박물관 &#39;찾아가는 어린이박물관&#39; 참여 초등학교 선정결과]]>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 ‘찾아가는 어린이박물관’ 참여 초등학교 선정 결과를 아래와 같이 알려드립니다.



선정지역

  • 인천 도서지역 내 초등학교


선정결과[총 6개 초등학교/교육일자별]

  • 조산초등학교(9월 10일)
  • 송해초등학교(9월 11일)
  • 영흥초등학교(9월 12일)
  • 화도초등학교(9월 17일)
  • 합일초등학교(9월 18일)
  • 하점초등학교(9월 19일)


문의처

  • 담당자: 어린이박물관과 이성곤, 원선경(02-3704-4505, 4541)
]]>
<![CDATA[2025년 시설물 집중안전점검 안내]]> 2025년 시설물 안전점검. 해빙기: 2025년 2월 17일부터 4월 2일까지. 집중안전점검: 2025년 4월 14일부터 6월 13일까지. 점검 대상: 재난 및 사고 발생 우려가 있는 시설물. 주민점검 신청제 참여 방법: 안전신문고 앱 또는 누리집 활용, 오프라인 신청.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내 주변 위험 요인을 신고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