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겨울의 행복 포스터
지난전시기획전시
그 겨울의 행복
· 전시기간 2022-11-16 - 2023-03-02
· 전시장소본관 기획전시실1
  • 전시명: 길상 특별전 《그 겨울의 행복》
  •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1
  • 기간: 2022년 11월 16일(수) ~ 2023년 3월 2일(목)
  • 내용: 길상으로 본 우리 삶 속 행복의 변화와 지속
  • 자료: 십장생도(十長生圖) 등 200여 점
    *저시력자·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리플렛·빅 레이블·촉각 전시물 및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영상 내 수어해설 도입
  • 구성
    1부. 지금, 행복
    1-1. 행복의 순간들
    1-2. 복과 운
    2부. 길상―좋은 일이 생길 것만 같은
    2-1. 별전과 길상무늬
    2-2. 오래오래 건강하게
    2-3. 이름을 드높이고 부유하게
    2-4. 화목하고 평안하게
    2-5. 무사히 자녀를 얻길
    *다양한 재료에 새겨진 길상무늬 (한 땀 한 땀, 오색찬란, 반질반질)
    3부. 행복―언제 어디에나 있는
    3-1. 행복의 발견
    3-2. 행복의 모습
길상 특별전 《그 겨울의 행복》은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 등 여러 재난으로 지친 국민들에게 행복과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길상(吉祥)은 ‘좋은 일이 일어날 징조’를 의미하는 말로, 좋은 상징을 평상시 주변에 두어 좋은 일을 바라는 모든 행위를 뜻합니다. 흔히 길상 상징은 무늬로 많이 표현되는데, 예를 들면 꽃과 나비 무늬는 부부의 애정과 화합을 의미하여 안방의 가구나 그림에 사용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생활 속에서 바라는 좋은 일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길상 관련 소장품 십장생도(十長生圖) 등 200여 점을 선보입니다.


전시장 입구 모습


1부 지금, 행복

1부 지금, 행복 전시장 모습

1부에서는 행복에 대한 개념에 ‘행복의 순간들’이라는 이미지와 행복을 바라는 ‘기복(祈福)’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살펴봅니다. 자연과 사람·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에서 행복의 순간이 온다는 것을 그림과 사진의 이미지로 제시하고, 점을 쳐서 운수를 살피고 부적을 사용하는 등 나쁜 것을 막고 복을 부르는 일련의 행위들을 보여 주고자 하였습니다.

2부 길상―좋은 일이 생길 것만 같은

2부 길상 전시장 모습

2부에서는 옛사람들이 삶에서 바랐던 다섯 가지 복(‘수(壽)·부(富)·귀(貴)·강녕(康寧)·자손중다(子孫衆多)’)를 네 부분으로 나누었습니다. 오래 살고, 출세하여 부귀를 누리고, 평안한 가정을 이루어 많은 자손을 두는 소망은 여러 생활 속 물건에서 속속들이 나타납니다.
오래 살고자 하는 바람은 ‘수(壽) 자’와 ‘복(福) 자’를 백 번씩(또는 그만큼 많이) 수놓은 ‘백수백복도(百壽百福圖) 병풍’에서도, 오래 사는 열 가지인 십장생(十長生)을 새긴 벼루와 필통 등으로도 표현되었습니다. 부귀와 출세를 위한 바람은 화려한 모란꽃을 새긴 주전자와 그릇에서도, 딱딱한 등갑을 가진 게와 새우를 그린 그림으로도 표현되었습니다. 등갑은 갑등(甲等), 장원급제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가정의 평안과 화합에 대한 바람은 정답게 노니는 한 쌍의 새나 나비를 베갯모와 가구 등에 새겼습니다. 마지막으로 자손을 많이 얻고자 하는 바람은 씨나 열매가 많은 식물인 포도·석류·오이·가지 등에 빗대어 베갯모·가구·장신구 등에 표현했습니다.


2부 길상 전시장의 소장품 모습

2부의 마지막 부분에는 세 가지 주제로 소장품을 선보이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한 땀 한 땀’ 천을 꿰매고 자수를 놓아 만든 것들과, ‘반질반질’ 윤이 나는 도자기와 나무, ‘오색찬란’한 나전칠기까지 길상의 의미도 있고, 보는 즐거움도 있는 소장품들을 한데 모았습니다.


3부 행복―언제 어디에나 있는

3부 행복 전시장 모습

3부는 현대로 오면서 변화하는 길상과 행복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근현대에도 사람들은 여전히 돼지꿈을 꾸면 일확천금을 바라며 복권을 사고, 재물운이 생긴다고 믿으며 해바라기 그림 액자를 집에 겁니다. 하지만 행복은 누군가 길에 붙여 놓은 응원의 메시지를 보며 잠깐 웃는 순간에서 오기도 합니다. 과거부터 지속되는 길상도 있지만, 가치가 아닌 정신적인 측면과 작은 것에서 행복을 찾는 사람들의 사례를 통해 다양한 행복의 변화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전시 자료

별전 열쇠패 별전 열쇠패
조선 후기

붉은 매듭술이 달린 판에 다양한 별전(別錢)을 색색의 비단으로 묶어서 장식한 열쇠패이다. 주로 혼수품(婚需品)으로서 안방 가구에 장식하여 복을 기원했다.
별전은 동전 형태의 장식품이나 기념주화로 사람들의 소망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전 조지운필 유하묘도 전 조지운필 유하묘도(傳 趙之耘 筆 柳下猫圖)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장수(長壽)와 부부의 해로(偕老)를 기원하는 그림이다. 고양이의 한자인 ‘묘(猫)’와 70세 노인을 일컫는 ‘모(耄)’의 중국어 발음이 ‘마오’로 같아 장수를 의미하게 되었다.
까치는 기쁜 소식을 전해준다 하여 희작(喜鵲)이라고 불렸으며, 그림에 표현된 한 쌍의 까치는 부부가 해로하여 기쁨을 누린다는 뜻이다.
연적 연적(硯滴)
조선

벼루에 먹을 갈 때 사용하는 물을 담아두는 도구로, 잉어 모양이다. 잉어가 중국 황허(黃河) 강의 급류인 용문(龍門)을 뛰어오르면 용이 된다는 설화에서 비롯하여 물고기는 관직을 얻는다는 의미를 가진다.
자위부과도 자위부과도(刺蝟負瓜圖)
1788년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고슴도치가 오이를 이고 달아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오이는 씨가 많고, 고슴도치는 많은 가시를 가지고 있어 모두 다산(多産)을 의미한다.
자수 책가도 병풍 자수 책가도 병풍(刺繡 冊架圖 八幅 屛風)
조선

책과 문방사우(文房四友)를 그린 책가도(문방도)이면서 갖가지 꽃과 나무, 새들과 식물 등 길상의 의미를 담은 소재들을 함께 그렸다.
영친왕비 진주화접문 자수 향주머니 영친왕비 진주화접문 자수 향주머니(英親王妃珍珠花蝶紋刺繡香囊)

20세기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가민속문화재

향을 넣어 옷에 차는 주머니로, 매화와 나비 한 쌍을 금실로 수놓고 천연 진주를 달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삼층 자개농 삼층 자개농(三層籠)
조선

표면을 다양한 무늬로 장식한 삼층 자개 장롱이다. 문안쪽 면에 산수화, 백동자도, 꽃과 나비·새 등 층층마다 다른 그림으로 장식했다.
활옷 활옷
조선 후기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궁중 예복이었으나 조선 후기 이후 민간에서 혼례복으로 입었다. 부부의 앞날을 축하하는 의미를 담은 글귀와 십장생·모란·연꽃·봉황 등의 무늬를 수놓았다.
오늘도 무사히 액자 ‘오늘도 무사히’ 액자
21세기

1970~80년대에 무사(無事)와 안녕을 바라는 의미로 자동차 안이나 집에 두었던 그림이다.
이 그림의 원화(原畫)는 영국 화가인 조슈아 레이놀즈(Joshua Reynolds)의 <어린 사무엘(The infant Samuel)>로, 성경의 내용을 묘사한 것이다.
진로 소주와 술잔, 두꺼비 캐릭터 상품 진로 소주와 술잔, 두꺼비 캐릭터 상품
20세기, 21세기

진로 소주는 두꺼비 마스코트를 내세워 ‘두꺼비 소주’로 불리기도 했다. 복과 재물을 주는 의미의 두꺼비 캐릭터를 홍보 전략으로 내세웠다.


온라인 전시(VR)

온라인 전시 VR 바로가기 클릭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