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한 바퀴 포스터
현재전시기획전시
수장고 산책: 문자 한 바퀴
· 전시기간 2024-12-03 - 2025-03-03
· 전시장소국립민속박물관 파주 개방형 수장고
  • 전시명: 《수장고 산책: 문자 한 바퀴》
  • 전시장소: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개방형 수장고(열린 수장고4~6, 9~11, 보이는 수장고3·8)
  • 전시기간: 2024. 12. 3.(화) ~ 2025. 3. 3.(월) / 91일간
  • 관람료: 무료
  • 전시해설: 수장고 산책 – 매주 수~일, 1일 3회/ 현장 참여
    - 1회 10:30
    - 2회 13:30
    - 3회 15:30
    * 12.6.(금)부터 시작

우리는 문자로 가득 찬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문자는 의사소통의 수단이자, 정보를 기록하고 공유하는 도구입니다.
문자를 만든 것은 인간이지만
문자가 발명되면서 비로소 정보를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오늘날의 우리를 형성한 것도 바로 문자입니다.

이번 전시는 흔히 문자에 주목하지 않았던 유물들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는 전시입니다.
다양한 재료로 만든 일상용품에 새겨진 문자들은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을까요?

문자는 단순한 기록을 넘어
일상을 장식하고 염원을 담았던 흔적이기도 합니다.
정보를 기록한 실용적 문자부터,
길상 문자와 같은 상징적 문자,
도안화 되어 장식성까지 사로잡은 문자까지
수장고 곳곳에서 문자가 남긴 삶의 흔적과 만날 수 있습니다.

문자가 안내하는 길을 따라 수장고를 천천히 거닐며
유물 속에 숨겨진 다양한 이야기와 의미를 발견해보세요.
자, 이제 문자와 함께 떠나는 수장고 산책을 시작해볼까요?



정보의 기록
Documentation of Information
1F_열린 수장고 4

문자는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 수단이자 지식과 역사를 기록하는 도구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도자기나 항아리와 같은 유물에 새겨진 글자는 제작자, 제작지역, 용도 등 실용적인 정보를 전달하면서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을 반영합니다. 문자는 정보를 기록하고 보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자체로 특정한 시대와 문화를 이해하는 열쇠가 됩니다.

일상 속 길상
Auspiciousness in Everyday Life
1F_열린 수장고 5

길사유상吉事有祥은 ‘길하고 이로운 모든 것에는 반드시 상서로운 조짐이 있다.’라는 뜻입니다. 좋은 일이 일어나기 전에는 조짐이 있기에 그것을 잘 살펴서 행복을 맞이하자는 소망을 담은 것입니다. 복, 녹, 수, 희, 재는 행복, 건강, 번영 등 사람들이 바라는 소망을 함축적으로 담아낸 길상 문자입니다. 일상적인 물건 곳곳에 새겨진 길상 문자는 좋은 일을 상징하는 것을 주변에 두면서 좋은 일이 일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복福모든 소망이 이뤄지고, 녹祿 관직에 나가 출세하고, 수壽 오래 살면서, 희喜 일생 동안 기쁜 일이 계속되고, 재財 재물이 풍족해져서 부유한 삶을 누린다.

문자와 문자
Characters on Stationery Items
1F_열린 수장고 6

문자는 사상과 철학을 표현하는 매개체로 사용됩니다. 문자를 쓰는 도구인 문방구는 선비들이 항상 곁에 두는 친구와 같은 존재였습니다. 문방구에 쓰인 문자는 당시 선비들이 추구한 관념, 학문에 대한 열망, 그리고 자연과의 조화를 나타내는 내용이었습니다. 이렇듯 문자는 단순한 기록을 넘어, 당대의 사람들이 형성한 철학적 사유와 세계관을 엿볼 수 있게 합니다.

측정과 단위
Measurement and Units
1F_보이는 수장고 3-2

문자는 세상의 질서와 규칙을 나타내는 기준이 됩니다. 특히 경제적 거래와 상업 활동에서 문자는 정확한 측정과 단위를 통해 신뢰를 보장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동전, 저울, 추 등은 금액, 무게, 부피 등을 정확히 나타내기 위한 도구입니다. 문자는 단위와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사회 내에서의 공정한 거래와 신뢰를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하였습니다.

기념과 헌정
Commemoration and Tribute
1F_보이는 수장고 3-1

문자는 기념과 헌정의 메시지를 담고, 역사적 순간과 인물들의 업적을 후세에 전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념주화나 메달과 같은 유물에 새겨진 글자들은 특정 사건이나 인물을 기리고, 그 의미를 널리 전파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문자가 전달하는 기념과 헌정의 메시지를 통해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문자의 역할을 짚어볼 수 있습니다.

기호와 상징
Signs and Symbols
2F_열린 수장고 9

문자는 정보를 전달하면서도 때로는 기호와 결합하여 풍부한 의미를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천문도와 지도 등에서 등장하는 문자와 기호들은 독립적으로 기능하기보다는 서로 얽혀있어 주변의 다른 기호들과의 맥락 속에서 문자가 해석되어야 합니다. 문자와 기호의 결합은 옛사람들이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과 상징적 표현을 보여줍니다.

판각과 전이
Engraving and Transfer
2F_보이는 수장고 8-1

문자는 고정된 형태에 갇히지 않고 매체를 넘어 새로운 형태로 확장되기도 합니다. 목판, 인장印章 등의 유물은 목재, 석재 등의 재료에 새겨진 문자가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종이나 섬유 등 다양한 재료로 확산되는 방식에 주목하게 합니다. 이러한 전이는 문자가 한 매체에 갇히지 않고 재료를 넘나들며 의미를 확장하는 수단임을 보여줍니다.

일상 속 염원
Wishes in Everyday Life
2F_열린 수장고 10

문자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소망을 넘어 구체적인 메시지와 염원을 담고 있습니다. 복을 기원하는 문자는 일상용품에 개별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서로 결합하여 구체적인 의미를 전달하기도 합니다. ‘수복강녕壽福康寧’이나 ‘소원성취所願成就’처럼 삶에 대한 깊은 소망과 기대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표현되기도 하고, ‘충효전가忠孝傳家’처럼 개인적인 기원뿐만 아니라 공동체 내에서의 가치와 신념을 공유하는 역할도 했습니다.

생사와 애도
Life, Death, and Grief
2F_열린 수장고 11

문자는 삶과 죽음을 이해하고 그사이에 존재하는 믿음과 염원을 표현하는 수단이 됩니다. 지석誌石에 새겨진 문자에서는 죽은 이의 이름과 함께 조상의 계보, 일생의 행적, 무덤의 위치와 방향까지 읽어낼 수 있습니다. 지석 속 문자는 생사의 경계를 넘어 과거의 죽음을 후대 사람들이 함께 애도하기를 바라는 마음도 함께 전달합니다.

문양과 도안
Patterns and Designs
2F_보이는 수장고 8-2

문자는 때때로 변형되어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창출합니다. 특히 수자는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도안화되었으며, 아자는 반복적이고 기하학적인 패턴이 되어 유물에 새겨졌습니다. 도안화된 문자는 본래의 의미를 유지하면서도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상징성을 강조하는 장식적인 형태가 됩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