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 전시영상 2020 상설전시3 온라인 전시해설 한국인의 일생-출생,교육-

2020-09-24 조회수 : 4903
연관태그
# 상설전시#전시해설#한국인의일생
상설전시3 전시해설 한국인의 일생-출생,교육-
이 전시관에서는 조선시대(1392~1910) 양반 사대부 집안의 개인이 태어나 죽을 때까지 겪게 되는 주요한 과정을 전시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 이념에 따라 아들 중심의 가계(家系) 계승을 가장 중요하게 여겨서, 출산 전부터 남자아이를 기원하였다. 출산 후에는 백일잔치나 돌잔치를 열어 아이가 무사히 성장한 것을 축하하였다. 남자는 20세에 관례(冠禮)를, 여자는 15세에 계례(笄禮)를 치러 어른으로 인정받고, 혼례(婚禮)를 치러 가족을 구성하였다. 남자는 과거를 봐서 관직에 나가고, 여자는 안주인으로 집안 살림을 관장하는 것을 중요한 의무로 여겼다. 죽음에 따른 가족의 슬픔은 삼년상(三年喪)이라는 상례(喪禮)를 치르면서 극복하고, 돌아가신 조상은 사당에 모시고 제사(祭祀)를 지냄으로써 자손의 번창과 친족의 화합을 도모하였다.
한국어 English 中国語 日本語
자막열기
상설전시관3 한국인의 일생
<출생, 교육>

안녕하십니까? 국립민속박물관은 조선시대 후기의 생활문화를 중심으로 우리 조상들의 삶을 소개하는 생활사 박물관입니다. 크게 세 개의 상설 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제 3관 <한국인의 일생>은 한 사람이 태어나 죽을 때까지 겪게 되는 일생의례를 전시하고 있는 공간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신방

신방은 혼례를 마친 신랑과 신부가 첫날밤을 보내는 공간입니다. 벽에는 부부화합을 상징하는 꽃과 나비 그림의 화접도 병풍이 영상으로 보이고, 바닥에는 원앙처럼 부부가 함께 오래 살기를 기원하는 의미로 원앙금침을 깔았습니다. 조선시대는 집안의 대를 이을 아들 출산이 무엇보다 중요했기 때문에 신부는 이를 기원하면서 기자도끼를 차거나, 열쇠패와 수젓집 등에 부귀다남 ․ 자손번창 등의 글씨를 새겼습니다. 특히 여러 개의 별전을 엮은 열쇠패는 친정어머니가 딸이 시집갈 때, 자식과 재물의 복을 누리라는 의미로 혼수함에 넣어주었습니다. 그러면 신부는 이것을 방의 장이나 농 등에 걸어놓고 집안의 평안과 수복을 기원하였습니다.

삼신

우리 조상들의 출산에 대한 염원은 삼신(三神)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삼신은 아이를 점지해 주고 출산 후에는 아이와 산모의 건강을 돌봐주는 집안에 모시는 가신(家神)으로, 산신(産神)이라고도 합니다. 당시 사람들은 출산을 하면 방안 윗목에 출산을 도와준 삼신에게 감사의 의미로 삼신상을 올리고 아이가 무탈하게 잘 자라기를 빌었습니다. 또한 출산 전에는 삼신상에 한지를 깔고 쌀·미역·정화수 등을 올렸고, 출산 직후에는 상 위의 쌀과 미역을 이용해 산모에게 밥과 미역국을 만들어 먹였습니다. 벽 위쪽에 올려져 있는 것은 삼신을 모시는‘삼신단지’입니다. 단지 안에 쌀을 넣고 한지로 덮어서 안방의 시렁 위에 올려놓았는데요. 해가 바뀌면 단지 안의 쌀을 꺼내어 밥을 지어 식구들끼리 나눠먹고, 그 안을 다시 새 쌀로 채웠습니다.

금줄

위를 보시면 아이가 태어났을 때 대문에 걸어 아이의 탄생을 알리고, 나쁜 잡귀나 부정한 것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금줄이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금줄은 새끼를 왼쪽으로 꼬아, 여러 가지 상징적인 물건을 꽂았습니다. 남자 아이가 태어나면 붉은 고추와 숯을 끼웠는데, 이는 잡귀와 부정을 물리친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여자 아이가 태어나면 솔잎과 숯을 꽂았는데, 솔잎은 아이가 바느질을 잘하기를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아이가 태어난 지 3주(21일)가 지나면 금줄을 걷었습니다.

태실

태실(胎室)은 왕실이나 양반 상류층에서 아이의 태를 태항아리에 넣어서 보관한 곳입니다. 예로부터 아이의 태에는 생명력이 깃들어 있다고 하여 출산 후에도 소중히 보관하였습니다. 태를 처리하는 방법은 신분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는데요. 왕실과 양반 상류층에서는 좋은날을 가려서 아이의 태를 태항아리에 넣어 산에 묻었고, 민간에서는 태를 왕겨 속에 묻어 태우거나 깨끗한 곳에 묻었습니다. 특히 왕실의 경우, 태의 기운이 국운과 연결된다고 여겨서 돌로 태실을 만들어 산에 묻고 그 산을 태실이 있는 봉우리란 의미로‘태봉산’이라 하여 특별히 관리하였습니다.



아이가 태어난 지 일 년이 되는 날, 처음 맞이하는 생일인 돌이 되었습니다. 영아사망률이 높았던 시절에는 아이가 무사히 첫 생일을 맞이한 것을 기념하고 장차 잘 자라나기를 바라는 뜻에서 잔치를 열었습니다. 이 특별한 날, 어른들은 아이에게 액을 막고 장수를 염원하는 뜻을 담아서 색동으로 만든 오방장두루마기와 색동저고리를 입혔습니다. 돌상에는 아이의 장수를 기원하는 백설기와 실타래 이외에 돌잡이 물건을 올려놓고 아이의 장래를 점쳤습니다. 남자아이가 돈이나 곡식을 잡으면 장차 부자가 되고, 책·붓을 잡으면 문관, 활·화살을 잡으면 무관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여자 아이는 실패나 가위를 잡으면 바느질을 잘할 것으로 여겼습니다. 당시 양반가에서는 열심히 공부하여 과거에 급제하고 관리가 되는 것을 으뜸으로 여겼습니다. 이에 부모들은 그 마음을 담아 돌상 뒤에 이처럼 책이 한가득 그려진 책가도 병풍을 세웠습니다. 또한 돌상 위에는 『천인천자문(千人千字文)』을 올려놓습니다. 이 책은 말 그대로 천명이 한 글자씩 써서 완성한 것으로, 아이가 태어나면 할아버지나 아버지가 천 명의 지인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부탁하여 한 글자씩 받아 만들었습니다. 이는 천 사람의 지혜가 아이에게 전해져 장차 학문에 크게 성공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윤리교육

조선시대에는 삼강오륜(三綱五倫)을 바탕으로 한 유교적인 윤리교육을 통해 도덕적인 사회를 만들려고 하였습니다. 유교덕목인 효(孝)·제(悌)·충(忠)·신(信)·예(禮)·의(義)·염(廉)·치(恥)는 각각 효도·형제와 이웃 간의 우애·충성·신의·예절·의리·청렴·부끄러움을 뜻하는 글자로 삼강오륜(三綱五倫)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병풍그림의 여덟 글자는 각각의 고사가 있는데요. 효(孝)자에는 죽순·잉어·부채·가야금이 그려져 있습니다. 그 중 죽순에는‘맹종곡죽(孟宗哭竹)’이라는 고사가 있는데요. 오나라 관리인 맹종은 어머니에 대한 효심이 지극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어느 날, 그의 어머니가 갑자기 병에 걸려 아무 것도 드시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맹종은 대나무밭으로 달려가 평소 어머니가 즐겨 드시는 죽순을 찾으려고 하였으나, 추운 겨울날 아무리 찾아도 죽순을 찾지 못하게 되자 어머니 생각에 갑자기 울음이 터져버렸습니다. 그 때 놀랍게도 눈밭에서 작은 죽순이 올라왔고, 맹종은 이것으로 죽순탕을 끓여 어머니께 드렸다고 합니다. 사대부들은 이처럼 유교덕목을‘문자도 병풍’으로 꾸며 평생 따라야 할 가치로 삼았습니다. 국가에서도 효자·열녀를 표창하고,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윤리서를 그림과 함께 한글로 번역하여 보급하였습니다. 특히 그림이 포함된 윤리서는 글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준비한 것입니다. 그 대표적인 예인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잠시 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문방사우

교육에 대한 관심은 당연히 학용품으로 이어지겠죠. 당시 사람들은 글을 쓰거나 책을 읽을 때 사용하는 학용품을 글방이나 서재에 갖춰놓는 물건이란 의미로 문방구(文房具)라고 하였습니다. 학문을 숭상하는 유교사회에서 종이·붓·먹·벼루는 사대부들이 항상 곁에 두어야 할 네 벗‘문방사우(文房四友)’라 하여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지금 네 개의 진열장에 이와 관련된 유물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당시에는 종이가 귀했기 때문에 분판이나 사판으로 글쓰는 연습을 했습니다. 분판은 넓적한 판에 분을 기름에 개어 발라서 만들었고, 사판은 넓적한 나무상자에 고운 모래를 채워서 만들었습니다. 죽책은 유교경전인 사서삼경을 댓살에 적어 담아놓은 경서통으로, 경전을 암기하는 데 사용한 것입니다. 필묵통은 붓과 먹물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든 도구입니다. 원구형 먹통에 긴 손잡이가 달려있는 형태인데, 손잡이는 붓을 넣을 수 있도록 가운데가 비어 있습니다. 이단 먹통의 아랫단 윗면에는 한자로‘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가 새겨져 있고, 먹통과 손잡이가 연결된 부분 아래쪽에는 벽 등에 매달 수 있도록 끈이 달려 있습니다.

책가도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학문적 자세나 유교적인 이상을 추구하기 위해 이처럼 사랑방에 문방구나 고동기를 그린‘책가도(冊架圖)’를 병풍으로 만들어 마치 서재처럼 늘 공부하는 분위기를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여기 여러 권의 책들이 전시되어 있는데요. 『명심보감(明心寶鑑)』은 명나라 사람 판리번[范立本]
이 중국 고전 가운데 교훈이 될 만한 내용을 편찬한 아동용 교재로, 마음을 맑게 하는 보물 같은 귀중한 책이라는 뜻입니다. 『논어언해(論語諺解)』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말을 수록한 『논어(論語)』를 한글로 풀이한 대표적인 유교 경전입니다. 마지막으로 잠시 전에 언급했던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입니다. 조선 4대 왕 세종 때 설순(偰循, ?~1435) 등이 왕명에 따라 임금과 신하, 어버이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즉‘삼강’에 모범이 될 만한 충신·효자·열녀의 행적을 그림과 함께 한글로 번역한 윤리 교육서입니다.

서당

서당은 어린 남자 아이들을 위한 교육시설로, 선생님인 훈장과 학생인 학도로 구성됩니다. 학도는 대개 6~7세에 입학하여 14~15세에 학업을 마치게 됩니다. 하지만 여기 보시는 것처럼, 관례를 치룬 20세 이상의 성인 남성이 있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규모가 큰 서당에서는 나이가 많고 성적이 우수한 자를 학생장으로 세워‘접장’이라고 불렀는데요. 만약 이 서당에도 접장이 있었다면 이 남성이 접장일 가능성이 크겠죠. 당시 훈장은 학도들의 수준에 따라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서당에서는 한자의 뜻과 음을 익히기 위한 『천자문(千字文)』에서부터 『논어(論語)』 등 유교경전에 이르기까지 한문 교재를 암송하거나 글 쓰는 연습을 했습니다. 오른쪽 학생들 책 옆에는 좁고 긴 검은 종이가 놓여 있는데요. 이것은‘서산(書算)’이라고 합니다. 과거에는 책의 내용을 반복하여 외우는 학습법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책이나 문장을 읽고 외운 횟수를 서산 겉면에 낸 홈을 접거나 펴는 방식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서당을 마치면 학생들은 유교적 덕목을 익히고 과거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중급 교육기관인 서원이나 향교로 향하게 됩니다. 그곳에서 학생들은 유교의 기본 경전인 사서삼경(四書三經)을 본격적으로 배우게 됩니다. 사서는『논어(論語)』·『맹자(孟子)』·『대학(大學)』·『중용(中庸)』을 말하고, 삼경은『시경(詩經)』·『서경(書經)』·『역경(易經)』을 이릅니다. 한편 당시 여성들은 집안에서 한글교육을 통해 문자를 익혀서 편지왕래를 할 수 있었고, 한글번역서를 통해서 새로운 정보를 얻고 지식을 넓힐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관직에 나아가는 사회적 활동은 남성들만의 전유물로 여성들은 이러한 제약을 극복할 수 없었습니다.

천문지리교육

조선시대에는 천문지리교육도 이루어졌는데요. 조선시대 사람들은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기 때문에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고 여겼습니다. 그래서 하늘을 이해하기 위해‘혼천의(渾天儀)’를 만들어 천체의 운행 이치를 배우고, 별자리가 그려진 천문도나 해시계를 통해 24절기와 시간을 관측했습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천문도로, 하늘의 적도를 12분야로 나누어 차례로 늘어놓은 그림이라는 뜻입니다. 당시 사람들은 돌에 새겨진 천문도를 종이에 그대로 떠내거나 베껴서 별자리의 위치를 익히기도 했습니다. 특히 천문학은‘제왕학(帝王學)’이라고도 불렀는데요. 이는 왕이 하늘의 뜻을 읽어 농경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농사의 시기를 알려주어야 했기 때문입니다.‘청구남승도(靑邱覽勝圖)’는 당시 사람들의 지리에 대한 높은 이해 수준을 보여줍니다. 그들은 가로 세로 빽빽하게 글자가 채워진 이 그림을 펼쳐놓고, 오늘날 주사위와 비슷한 ‘윤목’을 던져서 나온 수에 따라 전국의 산·정자·절 등 명승지를 유람하며 지명을 익히는‘승람도놀이’를 하였습니다. 이 놀이는 먼저 시인·미인·어부·스님·도사 등 여행객(말)을 정하고, 서울을 떠나서 다시 서울로 가장 빨리 돌아오는 여행객이 이기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지금까지 조선 후기 양반들의 출생부터 교육까지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으로 성인이 된 양반들의 삶이 이어집니다.

연관된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