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박물관 파주는 경기도 북부지역 첫 국립박물관으로 2021년 7월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에 문을 열었습니다.
국립민속박물관 파주는 유물과 아카이브 자료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동시에 전시기법을 접목한 개방형 수장고이자, 관람객과의 거리를 좁힌 관람 친화적인 박물관입니다.
총 15개 수장고에 약 100만 점 이상의 소장품과 아카이브 자료를 보관하고 있습니다.
관람안내
관람시간
화~일
10:00~18: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매년 1월 1일,
설 당일(2025.1.29.),
추석 당일(2025.10.6.)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에는 관람자가 수장고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열린 수장고’와 외부 창을 통해서 수장고 안을 들여 다 볼 수 있는 ‘보이는 수장고’가 있습니다.
열린 수장고
맷돌, 절구, 옹기 등 도토기가 보관되어 있으며, 내부에 들어가 볼 수 있다.
민속아카이브센터
국립민속박물관이 발간한 도서자료와 팔십만점에 이르는 민속 아카이브자료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소장 아카이브 자료를 위한 작은 전시, 실감형 홀로 그램 영상 등 볼거리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안내 보기
아카이브자료를 이용한 영상, 체험코너 등이 마련되어 있다.
어린이체험실
‘어서와! 너희들이 보물이야’라는 주제로 개방형 수장고를 찾는 미취학 어린이 관람객을 위한 체험실입니다. 신체활동을 통해 스스로를 관찰하며 이 활동이 자신처럼 소중한 유물과 자료들도 탐구하도록 안내합니다.
※ 운영시간 및 이용방법
1일 7회차(회차당 50분) 운영하며 사전 예약 없이 현장 등록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단체의 경우 온라인 사전예약 필요. 예약페이지: www.kguide.kr/nfm001/)
미취학 연령 어린이들이 신체활동을 통해 개방형수장고를 이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린 보존과학실
문화유산 병원이라 할 수 있는 보존과학실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탐구 놀이 공간입니다. 박물관 유물의 보존처리 과정에서 수집된 유해생물과 환경에 대한 자료를 기초로 유물과 보존 환경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빛과 광선을 이용한 보존과학의 여러 분석 방법을 소개한다.
미디어 정보 월(Wall)
국립민속박물관 소장품 전체에 대한 유물정보가 대형(6m×2m) 미디어 패널에 펼쳐집니다. 소장품 이미지 속에서 나만의 유물를 픽(Pick)해서 ‘♥좋아요’를 누르고, 내 모바일에 담아 좀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볼 수도 있습니다. 프로잭션 아트 영상으로 가득 찬 방에서 정보의 바다에 들어온 듯한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유물을 조형적으로 해석한 프로잭션 미디어 아트가 세 벽면을 가득 채워 화려한 쑈를 펼친다.
우리놀이터
<우리놀이터>는 전통 민속놀이를 현대화하여 모두가 즐길 수 있도록 한 체험의 장입니다. '윷놀이', '고누', '실뜨기', '공기', '화가투' 등의 놀잇감을 테이블에서 놀아볼수 있는 코너와 디지로그 팽이채로 팽이경주, 아트 팽이 등의 인터랙티브 체험을 즐겨볼 수 있는 팽이마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운영시간 및 방법
놀잇감트레이 또는 디지로그 팽이채를 안내대에서 배부 받아 우리놀이터 내 테이블 또는 팽이마당에서 놀이하며 종료 후 안내대에 반납. 10:00~17:00(입장마감: 16:50)
고누, 실뜨기, 공기, 화가투, 윷놀이 등의 놀잇감과 테이블이 비치되어 가족·친구·연인 모두가 즐거운 놀이시간을 가져볼 수 있다.
수장타워를 모티브로 디자인된 팽이마당에서는 디지로그 팽이채로 아트팽이, 배틀팽이 등의 인터랙티브 팽이놀이를 즐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