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일생》 전시관에서는 조선시대1392~1910에서 현대까지 한국인이 태어나 죽을 때까지 겪게 되는 주요 과정을 전시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 이념에 의해 아들 중심의 가계家系 계승이 가장 중요했기에, 출산 전부터 남자아이를 기원하였다. 출산 후에는 백일잔치, 돌잔치를 열어 아이가 무사히 성장한 것을 축하하였다. 남자는 20세에 관례冠禮를, 여자는 15세 전후에 계례笄禮를 치러 어른으로 인정받았다. 혼례婚禮를 통해 가족을 구성하고, 남자는 관직에 나가거나 직업을 가져 가족을 부양하며, 여자는 집안 살림을 관장하였다. 사람이 죽으면 가족은 그 슬픔을 상례喪禮를 통해 극복하며, 돌아가신 조상에 대해 제사祭祀를 지냄으로써 자손의 번창과 친족의 화합을 도모하였다.
오늘날에는 이념과 가치관 등의 변화로 성별 관계없이 아이의 출생이 중요한데, 백일과 돌잔치를 열어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관습이 이어지고 있다. 성년식은 축소되었고, 혼례 또한 비교적 간소화 되었지만, 의례의 기본 구조와 의미는 변하지 않았다. 혼례로 형성된 가족 이외에 가족은 구성과 개념이 다양해지고, 남녀의 역할 구분도 점차 사라져간다. 상례喪禮와 제례祭禮 문화 또한 형식과 절차 등이 변화되었으나 조상을 기리며 후손의 안녕과 가족의 화합을 꾀하는 모습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