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사)국립민속박물관회(회장 김의정)는 국립민속박물관과 공동으로 매년마다 민속박물관대학을 개설하고 있습니다. 이 강좌는 역사학, 민속학 등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강의와 현장답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국의 전통문화를 보다 더 깊게 알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드립니다. 관심 있는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일자 | 교육내용 | ||
3/17 | 개강 | 을사년 만사형통 : 열두띠 이야기 | 천진기 / 前 국립민속박물관 관장 |
3/24 | 한국인의 독창적 예술세계 | 한국 건축 문명 : 진화와 미래 | 전봉희 /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3/31 | 답사 | ||
4/07 | 한국 미술의 특성과 정체성 | 차장섭 / 강원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 |
4/14 | 음악인류학 : 한국의 종소리 | 윤소희 /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대우교수 | |
4/21 | 답사 | ||
4/28 | 한국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의 만남 | 김기덕 / 건국대학교 명예교수 | |
5/12 | 꽃이 되어 추는 춤 | 차지언 / 황해도 무형문화재 화관무 예능보유자 | |
5/19 | 답사 | ||
5/26 | 다양한 컨셉의 한국 전통음식 | 정희선 /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교수 | |
6/02 | 세계의 민속과 지역문화 |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민속문화 | 강정원 /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
6/09 | 러시아인의 삶과 문화 | 이건욱 /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 |
6/16 | 답사 | ||
6/23 | 피라미드 따라 이집트문화 살펴보기 | 김성 / 협성대학교 명예교수 | |
6/30 | 영화 속에 나타난 한국의 전통가옥 | 박동현 /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부 교수 | |
7/07 | 몽골의 유목문화와 민속 | 박환영 / 중앙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 |
7/14 | 답사 | ||
7/21 | 세계악기여행 | 우광혁 /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 |
7/28 | 세계 곳곳의 지모신을 찾아서 | 박종성 / 한국방송통신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 |
8월 방학 | |||
9/01 | 한국의 근대화 과정과 문화변천 | 한국 국립박물관의 발자취 | 장상훈 / 국립민속박물관 관장 |
9/08 | 근대 한국의 원공간 : 덕수궁과 정동 | 안창모 /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
9/15 | 일제강점기의 사회생활상 | 박찬승 /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 |
9/22 | 근대화 과정 속 한국의 역사문제 | 박선영 / 세종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 |
9/29 | 한국과 일본의 상호인식 : 역사와 전망 | 하우봉 / 전북대학교 명예교수 | |
10/13 | 근대기 한류 열풍의 선두주자 : 무용가 최승희와 조택원 |
성기숙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원장 | |
10/20 | 한국의 ‘인간문화재’와 일본의 ‘인간국보’ | 임장혁 /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 |
10/27 | 역사와 문화 : 우리의 옛이야기 | 생활 속의 한약재 | 최호영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
11/03 | 방외지사(方外之士) 열전 | 조용헌 /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석좌교수 | |
11/10 | 역사와 문화로 읽는 나무들 | 강판권 /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 | |
11/17 | 청량산 일대 공민왕 신앙 | 배영동 / 국립안동대학교 문화유산학과 교수 | |
12/01 | 한국의 제례음식 | 최순권 /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 |
12/08 | 겨레의 과학이야기 : 옛것도 첨단이다 | 정동찬 / 前 국립중앙과학원 과학기술사 연구실장 | |
12/15 | 종강 및 수료식 | 한국인의 우주관 : 하늘, 시간, 땅에 대한 전통적 사색 | 문중양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