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개요
- 대회명: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민속기록학회 공동학술대회
- 주제: 민속현장의 기록
- 일시: 2025. 6. 21.(토), 13:20~18:00
-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전통문화배움터
- 주최: 국립민속박물관, 민속기록학회
- 문의 전화: 02-3704-3232
2025 민속기록학회 상반기 학술대회. 민속현장의 기록. 이번 학술대회는 북한지역의 민속기록에서부터 유성기 기록, 서낭신앙의 종교적 성격과 의미 구조, 아리랑에 대한 독립신문의 기록과 영화 주제가 아리랑에 대한 문제 등 다양한 주제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회원 여러분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일시: 2025년 6월 21일(토) 13시 20분부터 18시까지.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전통문화배움터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접수 및 개회사. 13시 20분부터 13시 30분까지. 개회사 양종승 회장. 제1부 민속현장의 기록. 사회자: 배명숙(한국여성생활연구원) 13시 30분부터 13시 55분까지. 1960년대 중반까지 북한에서 기록된 구전문학 및 민속학 연구의 실상과 그 비판적 분석. 발표자: 김광식(충남대). 토론자: 박환영(중앙대). 13시 55분부터 14시 20분까지. 황해도 해주탈춤 기록과 고증에 따른 복원과 전승. 발표자: 양종승(샤머니즘박물관) 토론자: 오진희(고려대). 14시 20분부터 14시 45분까지. 유성기 기록을 통해 본 근대 연희특징. 발표자: 유수영(전남대). 토론자: 서인화(서울시무형유산위원회). 14시 45분부터 15시까지 중간 휴식. 제2부 자유 주제. 사회자: 박지윤(한국의례문화연구소). 15시부터 15시 25분까지. 서낭신앙의 종교적 성격과 의미 구조 - 서울·경기지역의 무당과 주민의 종교적 실천을 중심으로. 발표자: 김덕묵(한국외대) 토론자: 김주형(평산소놀음굿보존회). 15시 25분부터 15시 50분까지 독립신문 기록을 통한 애국가 작사자 문제. 발표자: 김연갑(아리랑연합회) 토론자: 고헌균(헐버트재단). 15시 50분부터 16시 15분까지 영화 주제가 아리랑의 정전화 과정 연구. 발표자: 기미양(아리랑학회) 토론자: 김경순(KBS) 16시 15분부터 16시 30분까지 중간 휴식. 종합토론 16시 30분부터 18시까지. 발표자, 토론자 및 참가자 전원. 국립민속박물관 민속기록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