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맥을 잇다 전시포스터
국내
산, 맥을 잇다
· 전시기간2022-10-26~2023-01-31
· 전시장소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 수정캠퍼스
· 관련자료
ㅇ 전시명: 산, 맥을 잇다
ㅇ 장소: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 수정캠퍼스
ㅇ 기간: 2022년 10월 26일(수) ~ 2023년 1월 31일(화) * 이후 상설로 변경
ㅇ 내용: 고지도에 나타난 산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
ㅇ 구성
프로로그: 모든 산이 줄지어 일어서다
1부: 백두대간, 지도 속에 깃들다
1. 대동여지도와 백두대간
2. 지도로 본 명산의 입지와 특성
2부: 우리의 삶, 산 속에 스미다
1. 유람과 수양의 장소
2. 산촌민의 터전
3. 신을 만나는 곳
에필로그: 산과 함께 살어리랏다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종대)은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관장 강호선)과 함께 2022년 10월 26일부터 2023년 1월 31일까지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에서 K-museums 공동기획전 《산, 맥을 잇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동국지도, 여지도, 해좌여도 등 다양한 고지도와 전시를 위해 특별 제작한 대동여지도 입체 모형을 볼 수 있다. 전시를 통해 고지도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된 산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함께 살펴 볼 수 있다.

대동여지도를 입체로 만들었다고?

대동여지도는 백두대간의 이러지는 국토체계를 잘 보여주는 지도이다. 산의 봉우리와 능선을 굵은 줄로 그리고 높은 산은 위로 솟은 톱날 모양으로 표현했다. 이런 대동여지도의 특성을 살려 전시에서는 1:1 크기 비율로 등고선의 높낮이에 따라 모형을 입체적으로 제작했다.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에서 선보이는 대동여지도 입체 모형을 감상해보는 것만으로도 이번 전시를 관람할 가치가 있다.

한반도의 10대 명산은 어디일까?

조선 후기 학자 정약용은 백두산을 우리나라 산악의 조종이라고 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백두산을 비롯해서 한라산까지 수많은 산중에서 10개의 명산을 선정하여 그 산의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이번에 선정한 10개의 명산은 공통적으로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에 중요하게 기록된 산이고, 영토의 종주, 백두대간의 중심, 유람의 대상, 신과 맞닿는 장소, 국가의 중요 문서를 보관하는 장소, 왕도의 선정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번 기회에 동국지도 등 다양한 고지도를 직접 눈으로 볼 수 있고, 각 지도에서 10개의 명산을 각기 다르게 표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면서 전시를 즐겨볼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10개의 명산과 관련하여 재미있는 설화를 볼 수 있는 공간도 만들어 놓았다. 전시관에서 10개의 명산에 어떤 산이 들어가 있는지, 각 명산의 특징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등산이 아닌 유산遊山하러 가요

등산의 계절이 다가 왔다. 가을이 되면 산에는 울긋불긋 단풍이 들고, 많은 사람들이 산으로 여행을 떠난다. 옛 사람들은 산을 오르는 것을 등산登山이 아닌 유산遊山이라고 하여 산으로 놀러 다닌다고 했다. 전시에는 옛 사람들이 명산으로 소문난 곳을 다니면서 쓴 다양한 유산기와 화첩을 볼 수 있다. 또한, 산은 신을 만나는 곳이었다. 금강산, 지리산, 한라산을 삼신산이라고하여 숭배하기도 하였으며, 지금도 전국 여러 마을에서는 마을의 뒷산에서 산신제, 동제 등을 통해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한다.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지혜로운 사람은 움직이고, 어진 사람은 고요하다.
지혜로운 사람은 즐거워 할 줄 알고, 어진 사람은 장수한다.
『논어論語』「옹야편雍也篇」, 공자孔子, B.C.551~B.C.479

산 자의 ‘길’: 죽은 자를 위해 행하는 도리(道理)

누군가가 죽으면 이승에 남은 가족들은 망자가 조금이라도 좋은 생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사십구재나 천도재 등을 통해 복덕을 쌓으려는 노력을 하였다. 이는 시왕이나 지장보살(地藏菩薩)과 같은 불교의 신화와 관련된 의례이지만, 효(孝)와 가족애를 강조하는 유교문화의 영향 속에서 하나의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시왕신앙은 한국의 토착신앙체계인 무속과도 결합하여 마찬가지로 죽은 자의 천도를 비는 넋굿의 모티브를 이루게 되었다.

주요 전시자료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Daedongnyeojido or Territorial Map of the Great East[Korea],
김정호(1804?~1866?) 조선, 1861년, 종이에 목판 인쇄 후 채색,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조선팔도여지전도 조선팔도여지전도(朝鮮八道輿地全圖)
Map of the Eight Provinces in Joseon, 18세기, 중엽 종이에 묵서와 채색,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해좌여도 해좌여도(海左輿圖)
Territorial Map of the Great East, 김정호(1804?~1866?), 조선, 1861년, 종이에 목판 인쇄 후 채색,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성신여학교 금강산 답사 성신여학교 금강산 답사
Sungshin Girls' School Touring
Geumgangsan Mountain, 일제강점기, 사진, 성신여자대학교 역사기록실 소장
동국지도 동국지도(東國地圖)
Map of the Eastern Country, 1800~1822년, 종이에 묵서와 채색,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산수도 산수도(山水圖)
Mountainscape, 정황(鄭榥, 1737~??), 1780년대, 종이에 수묵,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북관수창록 북관수창록(北關酬唱錄)
Records and Paintings of Chilbosan
Mountain, 김수항(金壽恒), 한시각(韓時覺), 1874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신묘년풍악도첩 (백천교) 신묘년풍악도첩(백천교) 《辛卯年楓嶽圖帖》
百川橋
"Baekcheongyo Bridge" from the Album of Paintings of Geumgangsan Mountain, 정선(鄭歚, 1676-1759), 18세기, 비단에 수묵담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산신도 산신도(山神圖)
Painting of Mountain Spirits, 광복이후, 비단에 채색, 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