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전 시 명: 소색비무색(素色非無色), 흰옷에 깃든 빛깔
- 전시 장소: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 전시 기간: 2023년 4월 20일(목) ~ 2023년 12월 30일(토)
- 전시 내용: 소색(素色)의 의미와 백의민족(白衣民族)의 문화상 소개
- 전시 자료: ‘모시 두루마기’ 등 복식 자료 190여 점
- 전시 구성
- 프롤로그: 소색을 향유해 온 발자취
- 1부: 소색의 근원, 자연이 준 선물
- 2부: 우리 옷에 깃든 소색
- 3부: 소색의 변주
- 에필로그: 소색의 확장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종대)과 경운박물관(관장 조효숙)은 2023년 4월 20일(목)부터 2023년 12월 30일(토)까지 경운박물관에서 《소색비무색(素色非無色), 흰옷에 깃든 빛깔》 공동기획전을 개최한다. 국립민속박물관은 2012년부터 공․사립, 대학박물관 등과 함께 K-museums 공동기획전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협업 박물관의 전시 역량을 키우는 동시에 지역의 문화 향유 기회를 넓히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번 전시는 ‘모시 두루마기’ 등 190여 점의 복식 자료를 통해 예로부터 흰옷을 즐겨 입은 우리 민족의 문화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백의(白衣)의 의미를 살펴본다.
엄밀하게 따지면 백의는 흰색이 아니다. 소색이 정확한 표현으로, 소색은 원료 섬유가 지닌 천연의 색을 뜻한다. 예로부터 백의는 염색하지 않은 명주, 모시, 삼베, 무명 등의 직물로 만들었다. 이로 인해 직물 본연의 색을 띠고 있는 백의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흰색이 아니다. 전시장에는 ‘칡직물’, ‘대마직물’, ‘견직물’, ‘면직물’ 등 다양한 소색의 직물이 펼쳐져 있으며 이를 통해 백의 본연의 색을 마주할 수 있다. 더불어 각각의 직물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과 ‘누에고치’, ‘목화솜’, ‘삼껍질’ 등 직물의 원료도 전시장에 꾸려놓아 소색의 근원을 접해 볼 기회를 마련했다.
흰색은 순수, 결백, 청렴, 절제 등을 상징하며 조선시대 선비들이 선호했다. 선비들은 흰옷을 즐겨 입었고 백자 문방구를 두고 학문에 정진했다. 당시 대다수의 백성 역시 흰옷을 입었다. 이 때문에 조선의 거리에는 백의가 많았고 개항기 외국인의 여행기에는 흰옷의 물결이 인상적이었다는 기록이 다수 보인다. 1927년 조선총독부에서 펴낸 『조선의 복장[朝鮮の服裝]』에는 조선인 복식의 80%가 백의라는 조사 결과가 있을 정도로 우리 조상들은 흰옷을 즐겨 입었고, 백의민족(白衣民族)이라 불렸다. 전시장에서는 ‘화성능행도병풍(華城陵幸圖屛風)’, ‘흥선대원군사진’ 등 조선시대 그림과 근현대 사진을 활용해 만든 영상을 통해 백의민족으로 불린 조상들의 자취를 엿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삼베 저고리’, ‘모시 저고리’, ‘삼베 단령’, ‘모시 두루마기’ 등을 통해 백의의 재료적 다양성과 아름다움도 만끽해 볼 수 있다.
국립민속박물관이 자리한 경복궁 주변에서는 한복 차림의 외국인을 쉽게 만날 수 있다. 한복차림으로 주변 관광 명소를 거니는 우리의 젊은이들 역시 많다. 이처럼 한복은 박물관 속 전시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금도 우리가 친근하게 입고 즐길 수 있는 옷이고 K-컬처를 이끄는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전시장에서는 가상 착장 소프트웨어(software)를 활용해 전시 자료를 아바타(avatar)에 입혀 소색옷의 현대적 해석과 미학을 영상으로 볼 수 있다.
올해는 국립민속박물관이 현재의 자리로 이전 개관한 지 30주년, 경운박물관의 개관 2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이다. 이번 K-museums 공동기획전은 두 박물관의 의미 있는 해를 기념하고 K-컬처의 리더(leader) 역할을 하는 우리 옷에 관해 재조명하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문주 삼회장 저고리
1880년대 쌍용문주(雙龍紋紬) 저고리이다. 자주색 깃, 끝동, 고름, 곁마기를 댄 삼회장 저고리로 소색 옥양목 안감을 넣고 솜을 두었다. |
|
삼베 저고리
1940년대 북포로 지은 저고리로 겨드랑이와 어깨에 바대를 대었다. 오른쪽 배래 부분에 생산지를 추정할 수 있는 상표가 찍혀 있다. |
|
옥양목 저고리
1930~1940년대 고운 옥양목에 명주 남끝동을 단 저고리이다. |
|
화문 호박단 저고리
1960~1970년대 경사의 밀도가 촘촘하여 미세한 가로 골이 형성되는 평견(平絹) 직물의 일종이다. 해방 이후 조선견직에서 생산되어 1960년대까지 한복 옷감으로 유행하였다. |
|
모시 저고리
1970년대 모시 홑저고리이다. 해지기 쉬운 어깨와 겨드랑이에 바대를 대어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겸하였다. 옆선 길이가 짧아지고 앞길이가 뒷길이 보다 4~5cm 정도 길며 도련의 곡선이 심해졌다. |
|
삼베 단령
20세기 초반 완순군 이재완(1855~1922)이 국상 중에 입었던 단령으로 추정되며 조선 말기의 의복 간소화가 반영되어 소매통이 좁아지고, 삼각형 두루마기 무로 바뀐 관복(官服)이다. |
|
모시 두루마기
1930년대 조선 말기 종 2품 수민원 참사 조재혁(1909~1998)의 유품이다. |
|
백립
조선 후기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백포(白布)를 싸서 만든 흰색 갓으로, 국상(國喪) 때 착용하였다. |
|
칡직물
1950~1960년대 갈포는 칡넝쿨의 겉껍질을 잿물에 삭혀 만든 실로 짠 직물이다. 대마직물과 같이 실을 이은 부분에 꼬임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칡’이라 자수한 부표가 달려 있다. |
|
대마직물, 안동포
2001년 대마직물은 흔히 삼베라고도 부르며 수분을 빨리 흡수·배출하고 곰팡이를 억제하는 항균성과 항독성이 있다. 안동지역에서 짠 삼베는 안동포라 불린다. 직물 하단에는 ‘안동명산’ 도장이 있다. |
|
견직물, 은조사
1944년 생견사(生絹絲)로 맑고 투명하게 짠 은조사이다. 직물의 하단에는 제작처를 추정할 수 있는 도장이 찍혀 있다. |
|
면직물
20세기 면직물은 무명 또는 면포(綿布)라고도 한다. 면직물은 내구성과 흡습성이 좋고 세탁이 편리하다. 면실은 짧은 섬유를 방적해 실을 만들며 꼬임과 잔털이 많아 매끈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
|
누에고치
20세기 후반 견직물의 원료인 누에고치이다. 누에가 만든 고치에서 풀어낸 실로 견실을 만든다. 천연에서 얻어진 섬유 중 가장 긴 섬유이며 꼬임 없이 매끈하고 광택이 있다. |
|
목화솜과 목화씨
20세기 후반 면직물의 원료인 목화솜이다. 목화에서 얻어진 면화를 잘 말려 씨를 가려내고 목화솜을 방적(紡績)해 실을 만든다. |
|
삼껍질과 삼실
20세기 후반 대마직물의 원료인 삼껍질과 삼실이다. 삼실은 대마 줄기의 껍질을 고르게 쪼개고 삼아 실을 만든다. 줄기를 생으로 사용하거나 잿물에 익혀 겉껍질을 벗겨내 실을 만들기도 한다. |
|
소색옷 전시 자료 가상 착장 1 | |
적삼 | 소색옷 전시 자료 가상 착장 1
1950년대 생모시로 만든 남성 적삼으로 맹현가(孟峴家) 유품이다. |
|
조끼 | 소색옷 전시 자료 가상 착장 1
연대 미상 저고리 위에 덧입는 흰색 모시로 만든 여름용 남성 홑조끼이다. 앞길의 양쪽과 왼쪽 가슴에는 주머니를 달았고 흰색 단추 5개가 달려 있다. |
|
살창고쟁이 | 소색옷 전시 자료 가상 착장 1
1920년대 통풍이 잘되도록 허리 부분을 오려서 창살과 같이 만든 살창 고쟁이이다. 대개 한 가랑이에 6개의 구멍을 내어 모두 12개의 창을 만든다. 시집살이를 시원하게 잘 하라는 의미로 경상도 지방에서는 신부 혼수의 필수품이었다. |
|
소색옷 전시 자료 가상 착장 2 | |
저고리 | 소색옷 전시 자료 가상 착장 2
나일론(Nylon) 직물에 아일릿(Eyelet) 기법으로 꽃과 덩굴무늬를 장식한 저고리이다. 고름 없이 단추로 여미는 형식이다. |
|
치마 | 소색옷 전시 자료 가상 착장 2
1950년대 경사방향으로 주자직 뉴똥과 성근 익조직을 교대로 배열하여 줄무늬를 이루는 부드럽고 하늘하늘한 치마이다. 난초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