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전시기획전시
호랑이 나라
· 전시기간 2021-12-22 - 2022-03-01
· 전시장소본관 기획전시실 Ⅱ

  • 전 시 명: 《호랑이 나라》
  • 전시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 2
  • 전시 기간: 2021년 12월 22일(수) ~ 2022년 3월 1일(화)
  • 전시 내용: 임인년 호랑이띠 해를 맞이해 호랑이의 상징과 문화상 조명
  • 전시 자료: 맹호도(猛虎圖) 등 유물과 영상 70여 점
  • 전시 구성
    프롤로그 호랑이의 생태와 습성
    1부 십이지와 호랑이띠
    2부 호랑이 상징과 문화상
    3부 호랑이의 현대적 전승

국립민속박물관은 임인년(壬寅年) 호랑이띠 해를 맞이하여 호랑이에 관한 상징과 문화상을 조명하는 《호랑이 나라》 특별전을 개최한다.
맹수인 호랑이는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이다. 이 때문에 호랑이는 예로부터 용맹함을 상징하며 우리 민속에서 마을을 지켜주는 산신(山神)으로 신격화(神格化) 되었다. 또한, 옛날이야기 속에서 호랑이는 효와 보은을 실천하며 인격화된 존재로 나타나기도 한다. 오랫동안 호랑이는 우리의 삶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함께 하였고,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대표 동물이다.
《호랑이 나라》 특별전은 호랑이에 얽힌 다양한 문화적 상징과 의미를 소개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호랑이의 기운을 듬뿍 받아 임인년 새해에는 가내 두루 평안하길 바란다.


호랑이 나라 포스터



프롤로그_호랑이의 생태와 습성

호랑이는 고양잇과(科) 동물로, 황갈색 바탕에 검은색 줄무늬 털을 몸 전체에 두르고 있다. 호랑이의 수명은 15~20년으로, 임신 기간은 100~110일 정도인데, 한 번에 보통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육식성 동물인 호랑이는 달리기가 빠르며 도약력이 뛰어나다. 또한, 강력한 송곳니와 앞발이 있어 다른 동물을 사냥하기에 매우 유리하다. 야행성 동물인 호랑이는 해질녘을 좋아하고, 주로 산에서 생활하는 야생동물이다.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에 예전에는 많이 서식하였던 동물이지만, 현재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1부 십이지와 호랑이띠

호랑이는 십이지의 세 번째 동물로, 육십갑자(六十甲子)에서 병인(丙寅), 무인(戊寅), 경인(庚寅), 임인(壬寅), 갑인(甲寅)의 순으로 나타난다. 공간적으로 호랑이는 인방(寅方)이라 하여 동북동(東北東)에 해당하고, 시간적으로는 인월(寅月)과 인시(寅時)라 하여 음력 정월(正月), 오전 3시부터 5시까지의 때를 나타낸다.
우리나라 사람은 자신이 태어난 해에 해당하는 동물을 띠동물로 삼고, 이를 토대로 성향을 따지거나, 궁합을 본다. 또 한 해의 운수나 일생의 운명을 점치기도 한다. 호랑이띠는 용감하고 진취적이며 솔직한 성향으로, 말띠와 개띠와는 궁합이 매우 좋고, 소띠와 원숭이띠와는 상극(相剋)을 이룬다는 속신(俗信)이 있다.


2부 호랑이 상징과 문화상

호랑이는 우리 민속의 민간신앙(民間信仰)이나 구비문학(口碑文學)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산신(山神)으로 좌정(坐定)하여 마을을 지켜주고, 그림이나 부적에 그려져 집안의 액(厄)을 막아준다. 또 상장례(喪葬禮)에서는 이승과 저승을 연결하며 망자(亡者)를 저세상으로 인도하는 역할을 하고, 무덤을 지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설화나 전래동화 속의 호랑이는 영물(靈物)로 인식되며 효를 실천하거나 은혜를 갚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때로는 어리석은 행동으로 곤경에 처하기도 하는 존재로 이야기되며 삶의 교훈을 전하기도 한다.


3부 호랑이의 현대적 전승

예로부터 호랑이는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동물이었고, 지금도 그 명맥을 잇고 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의 ‘호돌이’와 2018년 평창올림픽의 ‘수호랑’은 호랑이를 활용하여 만든 대회의 마스코트로, 국제적 스포츠 행사에서 우리나라를 상징하였다. 또 축구 국가대표 엠블럼에서도 호랑이는 우리나라를 상징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군인이나 학생들이 호랑이처럼 용맹하고, 진취적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군대나 학교의 상징물로 호랑이를 채택하기도 한다.


주요 전시 자료

맹호도 맹호도(猛虎圖)
20세기 초

호랑이 그림은 예로부터 호랑이의 용맹함에 기대어 액(厄)을 물리치는 벽사(辟邪)의 의미로 많이 그렸다. 이 그림은 우석(友石) 황종하(黃宗河, 1887~1952)의 그림으로, 우석은 호랑이 그림을 잘 그려 ‘황호랑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십이지신도-인신 십이지신도-인신(十二支神圖-寅神)
1977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호랑이 신장(神將) 그림이다. 반은 인간이고 반은 동물의 모습을 하고 있다. 십이지신도는 절에서 큰 행사를 할 때 해당 방위에 걸어 잡귀를 막는 역할을 한다.
당사주책
당사주책
당사주책(唐四柱冊)
1950년대

사람의 운명을 점치는 책으로, 띠별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이해하기 쉽게 그림을 덧붙여 설명하였다.
산신도 산신도(山神圖)
1890년대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에서 지내는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에 사용하였던 산신도이다. 백호(白虎)와 함께 장수(長壽)의 상징인 불로초와 복숭아가 그려져 있다. 우리 민속에서 호랑이는 산신으로 좌정(坐定)하거나, 산신을 보좌하는 동물로 나타난다.
산신도 사진 산신도 사진
1930년대

산신도를 촬영한 것으로, 민속학자인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1904~1948)의 현지조사 사진이다. 부채를 들고, 호랑이를 탄 산신(山神)과 불로초장수의 상징를 들고 있는 동자가 그려져 있다. 사진의 뒷면에 ‘山神화상’이라고 써 있다.
호랑이를 타고 있는 인형 호랑이를 타고 있는 인형
19세기 말 ~ 20세기 초

상여를 장식하는 인형으로, 목우(木偶), 꼭두, 시립용(侍立俑) 등으로 부른다. 이승과 저승을 연결하며 망자(亡者)를 저세상으로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삼재부적판 삼재부적판(三災符籍板)
20세기

삼재를 막기 위한 부적을 찍는 판이다. 대개 삼재부(三災符)에는 호랑이와 매를 새긴다.
작호도 작호도(鵲虎圖)
19세기

호랑이와 나뭇가지에 앉은 까치를 소재로 그렸다. 각기 호랑이는 벽사(辟邪)와 보은(報恩), 소나무는 장수(長壽), 까치는 기쁨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하거나 호랑이와 까치를 강자와 약자에 비유하여 해석하기도 한다.
사인교
가마덮개
사인교(四人轎), 가마덮개[虎皮毯]
20세기 초

혼례를 마친 신부가 시댁에 타고 가는 가마이다. 액(厄)을 막아주는 의미로 지붕에 호랑이 가죽이나 호랑이 가죽 무늬가 있는 덮개를 얹었다.
열양세시기
열양세시기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19세기

김매순(金邁淳, 1776~1840)이 한양(漢陽)의 세시풍속을 월별로 정리한 책이다. 벽사적(辟邪的) 의미를 지닌 세화(歲畫), 정월에 호랑이 그림 등을 그려 붙이는 풍속와 애호(艾虎), 단오에 쑥으로 호랑이 형상을 만드는 풍속의 풍속 등이 실려 있다.
강사리 범굿의 호랑이 강사리 범굿의 호랑이
1981

강사리 범굿에서 범이 닭을 물고 가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으로, 김수남(金秀男, 1949~2006)이 촬영하였다.
호돌이 인형 호돌이 인형
20세기

1988년 우리나라에서 개최한 제24회 하계올림픽 경기대회의 공식 마스코트인 호돌이이다. 호돌이는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호랑이를 활용하여 만들었다.
수호랑 인형 수호랑 인형
21세기

2018년 우리나라에서 개최한 제23회 동계올림픽 경기대회의 공식 마스코트인 수호랑이다. 수호랑은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호랑이를 활용하여 만들었다.
축구공 축구공
2002

2002년 제17회 한일 월드컵을 기념하여 만든 축구공이다. 대한축구협회 엠블럼과 당시 참가한 우리나라 국가대표 선수들의 서명이 있다.

전시장 사진

▼ 전시장 입구

전시장 모습: 전시장 입구

▼ 프롤로그 - 호랑이의 생태와 습성

전시장 모습: 프롤로그 호랑이의 생태와 습성

▼ 1부 - 십이지와 호랑이띠

전시장 모습: 1부 십이지와 호랑이띠

▼ 2부 - 호랑이 상징과 문화상

전시장 모습: 2부 호랑이 상징과 문화상

전시장 모습: 2부 호랑이 상징과 문화상

전시장 모습: 2부 호랑이 상징과 문화상

▼ 3부 - 호랑이의 현대적 전승

전시장 모습: 3부 호랑이의 현대적 전승


온라인 전시(VR)

온라인 전시 VR 바로가기 클릭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마크

연관된 발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