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봄날을 만나다 포스터
지난전시기획전시
종이, 봄날을 만나다
· 전시기간 2024-05-17 - 2024-09-22
· 전시장소국립민속박물관 파주 개방형 수장고 16
  • 전시명: <종이, 봄날을 만나다>
  • 전시장소: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개방형 수장고 16
  • 전시기간: 2024년 5월 17일(금)-9월 22일(일)
  • 전시내용: 비개방 수장고에 보관된 지류 유물과 현대 종이공예 작가 작품 전시를 통해 개방형 수장고의 역할과 지향 모색
  • 전시자료: 종이도포, 갓집, 지승 팔각상 등 지류 유물 및 지승·지장·지호 기법의 현대 작가 공예품
  • 전시해설(2024. 6. 5. 개시): 수요일~일요일/ 1일 3회/ 현장 참여/ 누구나
    - 1회 10:30
    - 2회 13:30
    - 3회 15:30
  • 체험공간: <로비 ‘종이의 집’: 한 줄 메모 쓰기>
  • 전시 연계 갤러리 토크 안내
    ㅇ 행사명: 종이야 너는 어디에서 왔니? 어디로 가니?
    ㅇ 행사일시: 2024. 9. 4(수) 14:00 - 15:30
    ㅇ 행사장소: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로비
    ㅇ 참여작가: 전시참여 종이공예 작가 및 여행작가 노중훈(진행)
    ㅇ 참여방법: 사전 예약없이 현장 참여
  • 관련 교육 안내
    ㅇ 교육명: [파주관] 여름방학 교육 - 종이로 표현하는 마음, 식지食紙
    ㅇ 교육기간: 7. 31.(수), 8. 7.(수), 8. 14.(수) (선착순 무료)

전시를 열며

빛과 바람으로 빚은 종이는 가볍고 연약하면서도 다양한 변용과 천년을 잇는 강인함도 지닌 소재입니다. 우리 선조들이 종이의 물성을 포용하며 만들어 사용한 생활 기물들은 실용과 고유의 미감을 함께 갖추고 있습니다. 그리고 종이를 소재로 다양한 기법(지승·지호·지장 등)으로 작업하는 현대 작가들의 작품은 우리 안에 전승되고 내재된 창의적 DNA를 확인시켜 줍니다.
<봄날>은 비개방 수장고에 보관된 지류 소장품들의 특별한 나들이라는 의미와 현대 작가 작품과 조우를 통한 전통의 지속가능성 곧 ‘종이공예의 봄날’이라는 미래가치를 중의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과거로부터 전해 온 생활 기물의 실용적 미감과 현재를 넘어 미래로 이어질 지평의 확장은 개방형 수장고가 지향하는 ‘자료와 정보 그리고 영감의 연결’이기도 합니다. 이렇듯 고유한 아름다움을 지닌 국립민속박물관 소장품 전시를 통해 우리 문화의 가치를 만나는 귀한 시간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전시구성

<종이, 봄날을 만나다>는
종이 공예의 다양한 기법과 활용을 보여주는 1부 ‘창의성의 향연’
의·식·주 테마로 분류된 지류 소장품을 소개하는 2부 ‘멋과 맛과 결을 품은’
종이공예의 전승 관점에서 현대 작가 작품을 만나는 3부 ‘지평의 확장’으로 구성됩니다.


전시장 모습

열린수장고 16 입구 <백화>, 남지현

1부 전시장 입구 모습


1부. 창의성의 향연 코너

1부 전시장 입구 모습


2부. 멋과 맛과 결을 품은

1부 전시장 입구 모습


3부. 지평의 확장

1부 전시장 입구 모습



전시자료

1부. 창의성의 향연
남지현 작가 작품, 백화 남지현 작가 <백화>
수장고 입구 공간 천장 가득 설치된 지화작업은 전시의 제목처럼 봄날의 분위기를 자아낸다. 꽃잎에 층층이 쌓여 만드는 레이어와 공간감이 공예와 회화의 표현재료로써 한지가 현대미술 정체성을 담기에도 적절한 소재라고 말하는 작가의 생각을 잘 담아내고 있다.
박대성 화백 작품, 효취 박대성 화백 <효취>
하부적층식으로 내려 앉은 먹물이 만드는 농담의 깊이를 잘 구현하기 위해 종이의 배접에서부터 작업이 시작된다고 말하는 작가는 과거에서 전승되어 온 종이와 먹의 성질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전통 수묵을 현대적으로 변용한 작업으로 동시대 한국화의 세계화를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승, 지장, 기법으로 제작된 팔각 소반
조호익 작가의 지장 호족반
(위쪽) 지승, 지장, 기법으로 제작된 팔각 소반

(아래쪽) 조호익 작가의 지장 호족반
별도의 채색을 하지 않고 백색으로 마감한 작업들은 기존 지장 공예와 차별화된 여백의 미를 보여준다.
2부. 멋과 맛과 결을 품은
의식주 용도별로 구분된 다양한 지류 소장품
문자도 -의: 도포 옷본, 색실함, 갓집과 모자함, 색실 등
대모함
문자도
-식: 함지박, 식지 등

(위쪽) 함지박, 김원자대한민국 지호공예 명인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수상작인 함지박으로 선조들이 만들어 사용하던 투박한 함지박이 보다 현대적이고 미감을 가진 기품있는 생활 기물로 재탄생 되었다.
약리도
문자도
문자도
-주: 일반적인 금속 장석이 아닌 종이로 장석을 만들어 장식한 반닫이, 조족등 종이함 등
3부 지평의 확장
무형유산 지승장 및 현대 공예작가, 디자이너의 한지공예 작품
품달 <품달>, 김선애전라북도무형문화재 제61호 지승장
달항아리 안에 또 다른 항아리를 품고 있는 형상의 작품으로, 2-30개의 염색 노끈이 만드는 그라데이션 기법의 산수화와 이를 품고 있는 그물망 같은 외피 항아리의 중첩 구조를 가진다. 지승이라는 전통기법을 고수하면서 ‘세상을 품는 항아리’라는 작가의 주제의식이 담겼다.
나무에서 나무로 <나무에서 나무로>, <산>, 김현주
생활 기물에 한정된 전통 종이 공예가 환경 오브제로써 생활미감이 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하얀여름 <하얀여름>, 문연희
지승기법의 복식 ‘하얀 여름’ 시리즈는 전통공예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현대적 조형미가 넘치는 작업의 확장성과 지승공예에 대한 작가의 애정과 열정을 보여준다.
시간의 축적 <시간의 축적>, <문플레이트>, 신지은
외올과 겹올을 손으로 꼬아 한지실을 만드는 묵묵한 수행같은 과정을 거쳐 탄생한 작가의 작업은 전통공예에서 현대공예로의 확장된 작업세계를 보여준다.
기우제 제문 <백미 오브제 시리즈>, 엄윤나
지끈을 한 줄씩 쌓아올려 미싱작업을 한 것으로 전통적 방식에서 나아가 작가가 구축한 현대적 한지공예 작업세계를 보여준다.
무신도-용왕 <블루종 자켓>, <소나무숲>, 이진윤
실크와 한지를 혼합한 소재에 퀄트 아티스트 장미경의 소나무와 한옥 자수가 곁들어진 스커트는 한복의 전통적인 요소와 현대적인 감각을 접목한 한국적 미감의 백미를 보여준다.
무신도-용궁부인 <빛과 바람 그리고 한지>, 한아름
빛과 만나 산광 효과의 매력을 더하는 설치미술 작업은 한지를 이용한 작업이 전통공예에만 머물지 않고 현대미술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