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시개요
ㅇ전 시 명 : 김수남을 말하다
ㅇ전시기간 : 2016년 4월 6일(수) ~ 6월 6일(월) 6월 26일(일)까지 전시 연장
ㅇ전시장소 :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Ⅰ
ㅇ전시내용 : 굿판에서 볼 수 있는 삶과 죽음에 대한 사진 100점
ㅇ전시구성
전시구성 프롤로그 : 김수남에 대하여 1부 : 삶의 시작
“죽음이 곧 삶의 시작이고 삶의 끝이 죽음인 것”
1999년 KCTV제주방송 김수남 인터뷰 중에서
굿판에서 죽음은 새로운 삶의 시작점으로 여겨진다. 굿을 청하여 산 자는 슬픔을 극복하고 삶을 지속하는 힘을 얻게 되며, 망자는 현세를 마무리하고 내세로 향하는 전환점을 맞이하기 때문이다. 이들 모두를 위로하고, 서로가 작별을 고하며 치유하는 과정들을 거치고 나면 죽음은 끝이 아닌, 삶의 시작이 되는 것이다.2부 : 삶을 위한 기원
“당굿이 있는 날이면 이들은 어김없이 굿판에 모여들어 굿을 하며
한해의 안녕과 행복을 기원한다.”
1989년 『서울 당굿』 김수남의 사진작가 메모 중에서
굿은 결국 산 자를 위한 것이라는 말이 있다. 이 때문에 굿판에서는 삶을 위한 다양한 기원들을 볼 수 있다. 출산, 풍농풍어, 무사안녕, 무병장수 등 각자가 원하는 바를 이루고자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고, 풍성한 제물이 차려지는 한바탕 기원의 장이 펼쳐지는 것이다.3부 : 삶의 경계에 있는 사람들
“죽음과 삶 사이 그 선을 긋는 선상에 무당들이 있음으로 해서
살아 있는 사람들을 달래고 가는 이들을 잘 보내는 것”
1999년 KCTV제주방송 김수남 인터뷰 중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굿을 주관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무당, 만신, 박수 등으로 불리며 굿판에서 타인의 삶을 어루만져 준다. 굿을 청하는 사람들과 함께 웃고, 즐기며, 슬퍼하면서 그들의 심정을 헤아려 주는 존재인 것이다.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천진기)은 새로운 기증자료를 소개하고, 기증문화의 소중함을 알리고자 ‘김수남을 말하다’ 특별전을 개최한다. 전시기간은 2016년 4월 6일(수)부터 2016년 6월 6일(월)까지로,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Ⅰ에서 관람할 수 있다. 이번 전시의 자료들은 2015년 고 김수남 작가(金秀男, 1949~2006) 유족이 기증한 170,630점 중 대표작 100점을 엄선하였다.
김수남에 대하여
김수남 작가는 일찍이 1970년대부터 전국의 굿판과 아시아의 여러 나라를 찾아다니며 30여 년 간 그 현장을 기록함으로써 민속학계에 잘 알려졌다. 그의 사진집 <한국의 굿> 시리즈는 ‘2005년 한국의 책 100’에 선정되어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 소개되었을 정도로 국내외적으로 유명하다.
그는 평소 사진 작업을 하면서 민속학에서 라포(rapport)라고 부르는 피사체와의 친밀감 형성을 매우 중시 하였다. 그는 굿을 청하는 사람들과 주관하는 심정을 헤아리며 공감대를 형성한 이후에야 셔터를 눌렀다. 그러기에 타인에게 배타적인 굿판에서 방울과 부채 대신 카메라를 든 사진박수로 불리며 많은 사진을 찍고, 남길 수 있었다.
굿판에서 볼 수 있는 삶과 죽음의 이야기
이번 전시에서는 그동안 큰 주목을 받았던 <한국의 굿> 사진들을 중심으로, 그가 보여주고자 하였던 삶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들을 풀어보고, 이와 더불어 문화적 보편성을 확인할 수 있는 아시아의 여러 나라 사진들도 소개하였다.
전시는 ‘삶의 시작’, ‘삶을 위한 기원’, ‘삶의 경계에 있는 사람들’ 등 총 3부로 구성되었다.
1부에서는 ‘죽음-슬픔-위로-작별-치유’의 과정들을 거치며 산자와 망자가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과정을 접할 수 있다.
2부에서는 출산, 풍농풍어, 무사안녕, 무병장수 등 각자가 원하는 바를 이루고자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고, 풍성한 제물이 차려지는 한바탕 기원의 장을 만끽할 수 있다.
3부에서는 굿을 청하는 사람들과 함께 웃고, 즐기며, 슬퍼하면서 그들의 심정을 헤아려 주는 무당들의 인간적인 표정과 신명난 행위들을 마주할 수 있다.
전시 연계 행사
전시와 관련하여 다큐영화 상영, 전시 연계 강연회, 온라인 전시 개최 등 다양한 부대행사들도 준비되어 있다. 전시기간 중 매주 수요일과 목요일 국립민속박물관 영상채널 스튜디오에서는 김수남 작가의 활동 내용과 사진 철학 등을 볼 수 있는 다큐영화를 상영한다.
5월 6일(금)에는 전시 연계 강연회를 개최하여 그와 함께 활동한 지인들로부터 깊이 있는 회고담을 들을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4월 11일(월)부터는 네이버(NAVER)와 연계하여 온라인 전시도 진행한다. 온라인 전시에서는 공간적 제약으로 전시도록에만 수록한 100점의 사진을 추가적으로 소개하였다. 이는 ‘네이버 미술작품-온라인 전시회 웹페이지’에서 감상할 수 있다.
이번 기회를 통하여 일상을 살아가면서 무심코 지나치는 삶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들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가져보고, 사진이 나오기까지 작가가 고민하고 노력한 흔적들이 고스란히 전해질 것이라 기대한다. 아울러 사라진 굿판과 그 현장의 사람들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주요 전시 사진□ 김수남 관련 다큐영화 상영
ㅇ영화제목 : 사진박수 김수남을 말하다
ㅇ관람정원 : 각 회차 당 20명
ㅇ상영장소 : 국립민속박물관 영상채널 스튜디오
ㅇ상영횟수 : 전시기간 중 매주 수요일, 금요일 (4월 13일 수요일 국회의원 선거일 제외)
․ 1회차 : 14:00~15:00
․ 2회차 : 16:00~17:00
ㅇ상영시간 : 30분 내외
ㅇ영화내용 : 김수남의 생전 활동과 사진 철학 등을 보여주는 다큐
□ 전시 연계 강연회 개최
ㅇ강 연 명 : 김수남을 말하다 전시연계 강연회
ㅇ강연일시 : 2016년 5월 6일(금) 14:00 ~ 16:30
ㅇ강연장소 : 국립민속박물관 대강당
ㅇ강 연 자
․ 김인회(김수남 기념사업회장, 전 연세대학교 교수)
․ 황루시(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
․ 고운기(한양대학교 교수)
․ 양진(FUNNYFISH 실장)
ㅇ강연내용 : 함께 찾았던 현장 관련 에피소드, 작업 방식, 인간관계 등 같이 활동한 지인들로부터 직접 듣는 김수남에 대한 회고담
□ 네이버 연계 온라인 전시 개최
ㅇ전 시 명 : 김수남을 말하다
ㅇ전시기간 : 2016년 4월 11일(월)부터
ㅇ경 로 : 네이버 지식백과-미술작품-온라인 전시회 웹페이지
ㅇ전시내용 : 국립민속박물관 전시 및 도록에 수록한 사진 200점
사 진 | 설 명 |
---|---|
수용포 수망굿 1981년 경북 포항시 아들을 잃고 바다를 향하여 울부짖는 노모 |
|
인도네시아 장례식 1990년 인도네시아 숨바 또라자족의 장례식에서 망자의 관을 붙잡고 슬퍼하는 유족 |
|
수용포 수망굿 1981년 경북 포항시 서낭대를 흔들며 망자의 혼을 부르는 김석출 양중 |
|
영광 씻김굿 1982년 전남 영광군 고풀이를 하며 망자의 한을 풀어주고 작별을 고하는 당골 |
|
제주도 무혼굿 1981년 제주시 한경면 망자를 천도하고 있는 심방 |
|
제주도 신굿 1981년 제주시 구좌읍 자손의 번창과 출생을 주관하는 불도할망(불도할머니)이 오는 길(불도할망다리)을 만드는 한일춘 심방 |
|
동막 도당굿 1982년 인천 연수구 정애비를 꾸짖으며 액을 쫓는 이용우 산이 |
|
옹진 배연신굿 1981년 인천 강화군 무사안녕을 바라며 배 위에서 부정풀이를 하는 김금화 만신 |
|
봉화산 도당굿 1984년 서울 중랑구 삶을 위하여 기원하는 할머니 |
|
제주도 신굿 1981년 제주시 구좌읍 부정을 물리는 서순실 심방의 가족들 |
|
여씨할망당 영등굿 1982년 제주시 구좌읍 하늘을 향하여 본향신을 부르는 양창보 심방 |
|
인도 떼이얌 2000년 인도 케랄라 힌두교 사원의례 떼이얌의 신들린 무당 |
|
강릉 단오굿 1986년 강원 강릉시 팔도 무당의 굿하는 모습을 모방하는 사화선 무녀 |
|
황해도 내림굿 1981년 서울 성북구 신어머니와 신딸의 관계를 맺는 김금화 만신과 채희아 |
|
일본 입무식 1988년 일본 오키나와 네로메 마을의 입무식 |
|
황해도 지노귀굿 1983년 서울 성북구 이북 출신의 망자를 위하여 굿을 하는 우옥주 만신 |
|
보광동 부군당굿 1983년 서울 용산구 무감 서는 김수남 |